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May 29, 2020

지난 4월 치러진 21대 총선은 만18세 선거연령 하향으로 인한 새로운 유권자,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새로운 선거제도, 비례대표 의석 확보용 위성정당의 출현,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1992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이라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21대 총선 결과를 바탕으로 <21대 총선, 유권자 지지와 국회 의석 배분 현황 이슈리포트>를 발행했습니다.

 

투표했으나 선거에 반영되지 않고 버려진 유권자의 표(사표, 死票)의 현황과

득표율에 비례하여 의석수가 배분되었는지 보는 ‘비례성’에 주목했습니다. 

 

3줄 요약

  • 사표율 낮아졌으나 불비례성 커진 총선결과 
  • 사표율 50.32%→ 43.73%, 갤러거지수 6.58 →12.02로 나타나
  • 선거제도 개혁위해 유권자가 직접 참여하는 공론의장 필요

 

지역구 선거에서 1등만 당선되는 소선거구제의 특성 상, 1등이 아닌 후보자를 선택한 유권자의 표는 버려집니다. 참여연대 분석 결과, 21대 총선에서 버려진 유권자의 사표(死票) 비율은 43.73%로, 20대 총선 사표 비율(50.32%)에 비해 6.59%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실제 사표수를 살펴보면 21대 총선에서 20대 총선에 비해 309,002표가 증가했습니다.

 

[표1] 역대 총선, 전체 사표 비율

 

투표수

사표

사표 비율(%)

21대 총선

28,741,408

12,567,432

43.73

20대 총선

24,360,756

12,258,430

50.32

19대 총선

21,792,851

10,120,550

46.44

18대 총선

17,212,690

8,105,059

47.09

17대 총선

21,263,745

10,629,856

49.99

 

 

20대 총선에 비해 21대 총선 지역구 선거인수는 2백 1십만여명 증가했고, 높은 투표율로 인해 투표수도 4백 3십만여명 증가했으나, 선거인수 대비 당선자 득표율은 36.76%로 여전히 약 63%의 유권자는 정치적 대표를 갖지 못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표2] 20대, 21대 총선 지역구 당선자 득표 비율

 

지역구 선거인수

투표수

당선자 득표수

선거인수 대비 당선자 득표율(%)

투표수 대비 당선자 득표율(%)

21대 총선(a)

43,994,247

28,741,408

16,173,976

36.76

56.27

20대 총선(b)

41,893,936

24,360,756

11,760,979

28.07

48.28

차이(a-b)

2,100,311

4,380,652

4,412,997

8.69

8.00

 

 

21대 총선결과 사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49.31%), 울산(48.67%), 충남(47.29%), 충북(46.81%) 순입니다.

 

[표3] 21대 총선, 사표 비율 상위 5개 지역 (전체 지역별 사표비율은 이슈리포트 원문 참조)

 

투표수

사표

사표 비율(%)

강원

874,191 

431,099

49.31

울산

654,328

318,452

48.67

충남

1,112,137

525,891

47.29

충북

865,855

405,265

46.81

제주

348,444

161,918

46.47

 

선거구별로 살펴보면, 총 5명의 후보자가 출마한 울산 동구의 사표 비율은 60.9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당선자인 미래통합당 권명호 후보의 득표수보다 낙선한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국가혁명배당금당, 노동당 후보 득표수의 합이 약 1.5배에 달합니다. 4명의 후보자가 출마한 대구 수성구을 60.80%, 경기 고양시갑이 60.05%로 뒤를 이었고 5명의 후보자가 출마한 인천 동구미추홀구을 58.66%, 6명의 후보자가 출마한 강원 강릉시는 58.49%의 사표 비율을 보였습니다.

 

[표4] 21대 총선, 선거구별 사표 비율 상위 5개 지역

 

투표수

사표

사표 비율(%)

후보자 수

울산 동구

89,256

54,373

60.92

5명

대구 수성구을

105,066 

63,880

60.80

4명

경기 고양시갑

144,830

86,975

60.05

4명

인천 동구미추홀구을

115,979 

68,035

58.66

5명

강원 강릉시

122,855

71,856

58.49

6명

 

가장 낮은 사표비율을 보인 지역은 23.76%을 기록한 광주입니다. 낮은 사표비율을 보인 선거구는 5명의 후보자가 출마한 광주 광산구을 15.68%, 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17.59%, 광주 서구갑은 17.61%의 사표비율을 기록했습니다. 

 

[표5] 21대 총선, 선거구별 사표 비율 하위 3개 지역

 

투표수

사표

사표 비율(%)

후보자 수

광주 광산구을

117,137

18,364

15.68

5명

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108,051

19,001

17.59

5명

광주 서구갑

85,304

15,023

17.61

5명

 

정당 지지율과 의석 배분이 비례하는지, 즉 비례성을 확인하기 위해 갤러거 지수(Gallagher Index)를 인용하여 비교했습니다. 갤러거 지수는 0~100의 구간으로 나누고, 지수가 ‘0’에서 멀어질수록 비례성이 떨어지는, 즉 불비례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유권자의 표심이 선거에 얼마나 반영되는지 수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거제도 비교연구를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2016년 캐나다 하원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캐나다 민주주의 강화’ 리포트에서 갤러거 지수 5 또는 그 이하의 선거제도 설계를 권고하는 등 공신력 있는 지수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갤러거 지수로 살펴본 21대 총선 불비례성은 지역구 선거에서 12.02, 비례대표 선거에서 6.72를 기록했습니다. 20대 선거의 6.58(지역구), 5.61(비례대표)에 비해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정당 지지율대로 의석수가 배분되지 않는 높은 불비례성은 1등 승자독식 소선거구제의 한계, 위성정당의 출현으로 왜곡된 선거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표6] 19대~21대 선거 갤러거 지수

 

지역구

비례대표

19대

9.37

4.75

20대

6.58

5.61

21대

12.02

6.72

 

참고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시행하는 독일의 갤러거 지수는 1.95(2017년), 독일 사례를 도입한 뉴질랜드(2017년)는 2.73입니다. 다만, 갤러거 지수만으로 비교할 것이 아니라 각 국의 선거제도, 인구수, 정치적 환경 등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20대 국회는 준연동형비례제를 도입하는 등 선거제도를 바꿨으나 21대 총선 결과는 불비례성이 커져 악화되었습니다.

유권자 표의 등가성, 대표성, 비례성을 중심으로 선거제도 개혁이 논의되어야 하나, 정당간의 유불리로 번번히 왜곡되었기 때문입니다. 유권자의 민의를 온전히 반영하는 선거제도와 국회 구성을 위해 지역구 의석수와 비례대표 의석수를 최소 2 대 1 수준으로 낮추고 비례대표 의석 확대, 연동비율 상향 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울러 민심을 왜곡하고 위헌적인 위성정당의 출현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또한 국회는 의원정수 확대에 대한 국민적 반감을 방패로 삼을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논의해 나가야 합니다.

 

참여연대는 적정 국회의원 정수, 정수를 정하는 바람직한 기준, 비례대표의 규모 등 선거제도에 대해 유권자가 직접 토론하고 개혁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유권자 공론조사를 실시하거나 숙의토론의 장을 마련할 것을 국회에 제안합니다.

 

유권자는 선거의 들러리도, 구경꾼도 아닙니다.

선거제도는 유권자의 정치적 기본권과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임에도 그 동안 선거제도 개혁 논의에서 유권자의 의견 수렴 과정은 사실상 없었습니다. 20대 국회의 선거제도 개혁 논의 과정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국회의원들의 밥그릇 싸움이 되지 않도록 유권자들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민의를 대표하는 국회의원 선출 방식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필수적으로 거치고, 숙의민주주의 방식의 공론의 장을 만들어 선거제도 개혁 방안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합니다. 

 

 

보도자료 [원문보기/다운로드

이슈리포트 [원문보기/다운로드] <21대 총선, 유권자 지지와 국회 의석 배분 현황 이슈리포트>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의원님은 재판 중!' 수사 및 재판 중인 21대 국회의원을 알아보세요   2020.10.19
21대 국회 나쁜 법안, 누가 발의했나   2024.05.31
21대 국회 본회의 출석부   2024.05.31
21대 국회의원 중 집부자는 누구일까요?   2020.07.07
21대 총선, 유권자의 표는 얼마나 버려졌나?   2020.05.29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20대 국회 평가] [이슈리포트] 20대 국회 나쁜 법안, 누가 발의했나   2020.03.23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국민에게 열린 국회 위한 「국회법」 및 관계 규정 개정   2020.05.30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국회의원의 윤리와 징계 규율하는 「의회윤리법」 제정   2020.05.30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위장정당 방지와 유권자 표현의 자유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2020.05.30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일하는 국회 만들기 위한 「국회법」 개정   2020.05.30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정치자금제도 합리적 개선과 투명성 강화하는 「정치자금법」 개정   2020.05.30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참정권 확대와 보장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2020.05.30
[공동기자회견] ‘국민의힘’은 기초의회 선거제도 개혁에 동참하라   2022.03.24
[공동기자회견] 지방선거 3~4인 선거구 확대와 비례대표 대폭 확대를 통해 지방정치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2021.12.15
[공약평가] 20대 대선 후보의 정치·사법·행정 분야 공약의 개혁성과 구체성은?!   2022.03.07
[궁금한이야기X ③] 중앙선관위의 선거비용 관리감독 실태, 이대로 괜찮겠습니까?   2020.10.26
[그래픽] 17대~19대 총선, 산 표와 죽은 표는?   2016.03.17
[그래픽] 17대~19대, 우리 국회의 성별, 연령별 구성은?   2016.03.23
[그래픽] 2013~2015년 정당별로 지급된 국고보조금은 얼마일까?   2016.03.17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