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Dec 15, 2021

20211215_입법청원_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 위한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 기자회견

△ 참여연대는 임기 중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구금 중 국회의원에게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왔습니다. ⓒ참여연대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 구금 중 수당 지급 말아야 합니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임기 중 체포 또는 구속 등 구금 상태에 있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국회의원의 수당 지급을 중단하는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안을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 소개로 입법청원했습니다. 
 
유성진 소장은 “현행 국회의원수당법은 직무상 상해, 사망할 경우 외에는 수당 지급에 예외사유가 없는 법적 미비로 인해 체포, 구속 등 국회의원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이 분명한 경우에도 국회의원은 매월 기본수당과 입법활동비를 받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렇게 법적으로 지급 예외규정이 미비한 가운데 국회의원이 구속되는 사례가 적잖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국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라며 입법 취지를 밝혔습니다.
 

20211215_입법청원_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 위한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 기자회견

△ 참여연대는 임기 중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구금 중 국회의원에게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왔습니다. ⓒ참여연대

 

19대부터 전현직 의원 13명이 구금 중 받은 수당 약 13억 8천만 원

민선영 간사는 “참여연대가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및 검찰 보도자료, 언론 기사 등을 조사한 결과, 19대 국회부터 21대 국회 현재(21년 12월)까지 임기 중 구금 상태였던 전현직 국회의원은 19대 국회 박주선, 이석기, 조현룡, 김재윤, 박상은, 송광호, 박기춘 전 의원(7명), 20대 국회 배덕광, 이우현, 최경환 전 의원(3명), 21대 국회 정정순 전 의원과 이상직, 정찬민 현 의원(3명) 등 총 13명에 이르며, 의정활동이 불가능함에도 수령한 수당을 최소 추정치로 합산하면 약 13억 8천만 원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상해, 사망 외에는 지급 중단 규정을 마련하지 않은 현행 국회의원수당법 때문”라고 지적했습니다.
 

'그 의원은 구금 중에도 수당을 얼마나 받았나?' 팩트시트 [크게보기]

 

 

구금 중 의정활동비 지급 중단하는 지자체 사례 본받아야

이재근 권력감시국장은 불법 행위가 의심되어 수사를 받는 국회의원이 구금되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할 경우 기본 수당 및 입법활동비, 특별활동비 등에 대해 수당 지급을 중단하고, 무죄, 면소, 공소기각의 판결 또는 결정이 확정된 경우에는 미지급된 수당 등을 소급하여 지급하도록 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참여연대 입법청원안을 소개했습니다. 또한 “인천 남동구, 광주 광산구, 서울시의회, 경기도의회, 강원도의회, 경남도의회, 경북도의회 등 구금상태에 있는 경우 의정활동비를 지급하지 않도록 다수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규정하고 있지만, 국회에는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을 골자로 하는 법안 발의만 되어있을 뿐,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지방의회를 본받아 국회 또한 구금 상태에 있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국회의원은 수당을 지급하지 않도록 관련 조항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안 윤영덕 의원 소개로 입법청원

이에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은 “국회의원에게는 높은 윤리적·도덕적 책임이 다른 공무원보다 크게 요구된다는 점에서 국회의원이 구속될 때는 그 기간만큼 수당이 지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은 국민의 신뢰를 얻는 방안 중 하나”라며 청원안 소개 취지를 밝혔습니다.  
 
한편 현행 국회의원수당법은 국회의원의 기본적 직무인 의정활동에 지급하는 입법활동비, 회의 참석 수당으로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를 기본 수당이 아닌 30% 면세되는 경비로 지급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국회의원수당이 특혜성 시시비비에서 벗어나고 투명성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을 촉구하는 활동도 이어나갈 것입니다.
 
입법청원안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기자회견] 지방선거 선거제 개혁과 다당제 정치개혁 촉구 시민사회단체-정당 기자회견   2022.04.04
[분석자료] 상시 국회 1년, 스스로 만든 국회법 어기는 국회   2022.03.31
[성명] 국민의힘은 선거제 개혁에 즉각 협조하라   2022.03.24
[공동기자회견] ‘국민의힘’은 기초의회 선거제도 개혁에 동참하라   2022.03.24
[논평] 민주당, 정치개혁 약속 실천에 옮겨야   2022.03.15
[논평] 확진자 사전투표 혼란, 21세기에 웬말인가   2022.03.07
[공약평가] 20대 대선 후보의 정치·사법·행정 분야 공약의 개혁성과 구체성은?!   2022.03.07
[대선논평] 윤석열 후보의 정치개혁 공약은 뭔가   2022.02.28
[논평] 민주당, 정치개혁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줘야   2022.02.24
[성명] 국회 정개특위의 직무유기를 규탄한다   2022.02.17
[논평] 이재명 후보 구체적인 정치개혁 공약 제시해야   2022.02.15
[대선논평] 민주당 정치개혁안 알맹이가 빠졌다   2022.02.15
[논평]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2022.01.06
[논평] 피선거권 연령 18세로 하향, 늦었지만 당연   2021.12.28
[입법청원]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하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야 합니다   2021.12.15
[논평]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2021.12.15
[공동기자회견] 지방선거 3~4인 선거구 확대와 비례대표 대폭 확대를 통해 지방정치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2021.12.15
[팩트시트] 21대 국회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기록합니다.   2021.12.15
[성명] 표의 비례성 왜곡하는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해야 합니다   2021.12.15
[칼럼] 국민 목소리 무시하는 국회를 바꾸려면   2021.10.29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