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May 20, 2021

이달의 국회를 알리오!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특위 개회 0건

참여연대,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발행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는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 4월 임시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을 발표합니다. 국회 각 상임위는 개정 국회법에 따라 3월 23일부터 매달 2회의 전체회의(제49조의2)와 3회의 법안심사소위(제57조)를 각각 개최해야 합니다. 지난 2, 3월 낙제점을 면치 못했던 국회는 개정 국회법이 적용되는 4월 국회에서도 대부분의 상임위원회가 전체회의와 법안심사소위 개회 횟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모두 6개의 상임위가 전체회의 개회에서, 12개의 상임위가 법안심사소위 개회에서 ‘상시 국회’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정무위원회(위원장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와 행정안전위원회(위원장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만이 해당 국회법을 준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일하는 국회'로 변모하겠다며 스스로 국회법을 개정한 국회가 시작부터 이를 위반한 것입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이슈브리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4월 국회(제386회)의 각 상임위원회 전체회의 개회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국회법에 따라 예외 상임위인 3개 상임위(국회운영위, 여가위, 정보위)와 특위(윤리특위, 예결특위)를 제외한 14곳 중 6곳(국방위, 국토교통위, 농수산위, 법제사법위, 보건복지위, 외교통일위)이 전체회의 월 2회 개회를 지키지 않아 국회법을 위반했습니다. 한편 해당 국회법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의원 12건의 징계안이 계류되어 있는 윤리특위는 지난 2월, 3월 국회에 이어 이번에도 단 한 차례 회의조차 열지 않았습니다.
 
eE7S83VlmzPrsSXVTNNdBj6W-epEqwzC3f6ce5rS
 
둘째, 법안심사소위원회 개회 현황을 분석했습니다. 각 상임위는 개정 국회법에 따라 월 3회 법안심사소위를 개회해야 하지만, 예외 조항에 해당하는 3개 상임위원회를 제외한 14개 상임위 중 정무위와 행안위를 제외한 12곳(과기정통위, 교육위, 국방위, 국토교통위, 기획재정위, 농수산위, 문체위, 법제사법위, 보건복지위, 산자위, 외교통일위, 환경노동위)이 법안심사소위를 월 3회 미만 개회하여 국회법을 위반했습니다. 법안심사소위는 법안의 축조심사 등을 담당하는 회의이며, 내실 있는 법안 심사를 위해서는 법안심사소위 개회 의무 조항을 준수하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VYjY2tcoWWrAhBGmCjTTyMY-2yMwurxDvADC9PXg
 
셋째, 청원심사소위원회 개회 현황을 기록했습니다. 청원심사소위 개회는 국회법상 의무조항은 아니지만 민의를 경청하고 이를 입법에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국회 입법활동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모든 상임위원회는 청원심사소위를 3월에 이어 4월에도 단 한 번도 열지 않았습니다. 청원안이 국회에 제출되어도 국회가 이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 재차 확인된 것으로, 청원안 심사제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LzRw5pJniVUuzanyF828hoYavYOXpRnj7WC0DJFo
 
마지막으로 국회의원들의 상임위원회와 소위원회 출석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출결은 출석, 출장, 청가, 결석으로 구분됩니다. 소속된 상임위원회가 없는 박병석 국회의장을 제외한 국회의원 299명 중 232명이 위원회 전체회의와 소위원회 회의에 전부 출석했습니다. 반면 출석률 0%인 의원은 3월의 8명에서 19명으로 급증하였습니다. 이에는 구속 수감 중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정정순 의원과 국무장관 겸직 의원 6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재보궐 선거와 전당대회,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사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청가서조차 제출하지 않고 무단으로 결석한 의원은 총 5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구속으로 인해 의정활동이 사실상 불가능할 경우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국회의원 수당 등에 관한 법률>을 시급히 개정해야 합니다.
 
t-L2Ne23LCzf-mzkLszWIgXKQlVwTCYDru5Ikg2B
 
‘일하는 국회’는 단순히 회의를 많이 하는 국회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은 상임위원회 개회 횟수나 소속 위원의 출결 같은 정량적 평가로만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국회법을 통해 부여된 회의 개회 의무는 입법활동을 충실히 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는 점도 분명합니다. 이조차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국회에 대한 평가는 매우 인색할 수밖에 없습니다.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온 참여연대는 21대 국회에서도 개회 및 출결 현황 뿐 아니라 법안 발의부터 심사, 본회의 표결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이어갈 것입니다.
 
▣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 4월 임시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바로가기/다운로드]
▣ 제386회 국회(4월)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데이터 [바로가기/다운로드]
▣ 보도자료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팩트시트]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 2020,12,23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30일 이내 10만 동의 성립요건 청원권 보장 아니라 제약 10만 동의해 성립해도 방치하는 국회, 당장 ...

[칼럼] 국회 청원 성립 기준, 왜 이렇게 높나 했더니...
  • 2021,01,04

국민이라면 누구나 법안과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2020년 1월 도입된 국회 국민동의청원. 실제로 해보니 문턱은 높았습니다. 국민동의청원이 그 이름...

[이슈리포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
  • 2021,01,08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유명무실 윤리특위, ‘제 식구 감싸기’ 징계 왜 안 바뀌나윤리특위 상설화, 별도 의회윤리법 제정해야...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이해충돌 관련 정보의 상시 공개 등 2월 국회서 결론 내놔야 2월 임시 국회가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났지...

[질의서]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위한 국회법 개정 여부에 대해 질의했습니다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 공개 질의 국회는 2월 논의 약속 반드시 지켜야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 일정 밝히고 신속하게 논의해야 지난 202...

[카드논평] 수당 인상분 반납으로 퉁치기? 수당법 개정해!
  • 2021,02,19

지난 2월 8일, 국회는 2021년 국회의원 수당 인상분(공무원공통보수인상률 0.9% 반영, 월 77,300원)을 올 12월까지 코로나 극복을 위해 반납하기로 결...

[팩트시트]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 의혹이 있나? 21명 의원, 23개 사건
  • 2021,03,09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이 있나?> 팩트시트 바로 가기 (클릭!) 주식, 겸직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이해충돌 의혹 제기되고 있어 국회법 개정과...

[이달의국회를알리오] 2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3,12

2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코 앞으로 다가온 ‘상시 국회’, 국회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하나
  • 2021,03,24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하나 국회운영위 공청회 이후 한번도 안열려 이해충돌 정보 사전/상시 공개 및 이해충돌 판단기구 마련 필...

[논평]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 2021,03,25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사적이해관계 신고 내역 등 이해충돌 정보 상시 공개돼야 지난 3월 22일, 국회운영위원회는 국회의원 당선 후...

[논평]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 2021,04,02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

[이달의국회를알리오] 3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4,06

‘상시 국회’ 약속한 국회, 3월 임시국회는 어땠나 이슈브리프 통해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현황 공개 한 차례도 열지 않은 상임위 등 ‘상시 국회’ 의...

[논평]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 2021,04,23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옥죄는 공직선거법 전면 개정 필요 국회는 선관위 과잉단속 수수방관 말고 공직...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발자국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 2021,04,23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걸음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합의안 폐기 당연, 상시공개해야 윤리심사자문위 ...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2021,04,30

드디어 오늘(4/2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박덕흠, 이상직 등 국회의원의 끊임없는 이해충돌 논란...

[이달의국회를알리오] 4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 2021,05,20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

[논평]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 2021,05,24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건축사업자,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 피하기 어렵고 금지된 영리업무일 가능성 있어 국회법 위반 ...

[보도자료] 국회의장님, 김진표 의원의 영리업무 종사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2021,05,25

‘김진표 의원 영리업무 종사 금지 위반 여부’ 국회의장에 확인 요청 국회의장은 즉각 확인하고, 윤리심사자문위 의결 내용 공개해야 오늘...

[입법의견서]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 2021,06,03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1년 간 미공개 1,625건, 불수리 18건, 미성립 102건, 성립 단 14건 성립 14건 중 처리된 청원 단 3...

[입장] 선관위 정치관계법 개정 의견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
  • 2021,06,18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 조치 의견 긍정적이나 선관위 자의적 단속 권한 강화 매우 우려 국회는 6월 임시회에서 정치관계법 개정 논의 시작해야 유권자 ...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