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May 24, 2021

김진표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놓으세요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건축사업자,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 피하기 어렵고 금지된 영리업무일 가능성 있어

국회법 위반 여부 윤리심사자문위 심사받아야

 

 

지난 5월 21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진표 의원(더불어민주당 부동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처남 등 친인척과 함께 본인 소유 안양 비산동 토지에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김진표 의원은 해당 사업이 영리 추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그것은 단순한 의사의 표현일 뿐 엄연히 수익이 발생하는 영리업무에 해당한다. 이는 국회법에서 금지하는 영리업무에 해당할 수 있다. 현재 맡은 더불어민주당의 부동산 특위 위원장의 경우 직무 수행의 공정성도 의심받을 수 있다. 

 

국회법 제29조의2는 국회의원의 영리업무 종사를 금지하고 있다. 겸직과 영리업무 종사로 인한 폐해가 여러 차례 드러난 후 국회의원직 수행에 전념하고 헌법상 청렴의 의무를 이행하도록 2013년에 도입된 조항이다. 단서조항으로 의원 본인 소유의 토지·건물 등의 재산을 활용한 임대업 등 영리업무를 일부 허용하고 있지만, 2086.8㎡의 대규모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사업은 예외에 해당하는 본인 소유의 토지나 건물을 활용한 임대업 등으로 보기 어렵다. 본인이 직접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라지만 이 사업의 사업자에 김진표 의원이 들어가 있는 이상 국회법 위반 소지가 있고, 국회법상 영리업무 금지 위반에 해당하는지 판단이 필요하다. 국회의장은 국회법에 따라 김진표 의원의 건축사업 참여가 영리업무에 해당하는지 윤리심사자문위원회에 자문을 구해야 한다.

 

김진표 의원은 영리를 추구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사업에 대한 수익지분은 없고, 향후 사업주 여력이 된다면 즉각 처분을 원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앞으로 해당 지분 토지의 가치가 상승할 것이 자명한 상황이다. 김진표 의원이 이 사업 시행 전에 토지의 지분을 사업자에게 매각해 이러한 상황을 회피했다면 이러한 논란이 생길 여지도 없었다. 김진표 의원은 스스로 부동산 정책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사업자가 되는 것을 선택했다. 현재 김진표 의원은 "주택 공급과 주택 금융, 주택 세제와 주거 복지 등 사실상 부동산과 관련된 현안을 총망라해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여당의 부동산특위 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김진표 의원이 특위 위원장직을 유지하는 것은 지난 4월 직무수행의 공정성을 위해 이해충돌 상황을 사전에 차단하는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의 취지에 반할 뿐만 아니라 특위가 내놓는 부동산 대책도 신뢰받기 어렵다. 김진표 의원은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을 내려놓는 것이 마땅하다. 

 

논평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팩트시트]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 2020,12,23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30일 이내 10만 동의 성립요건 청원권 보장 아니라 제약 10만 동의해 성립해도 방치하는 국회, 당장 ...

[칼럼] 국회 청원 성립 기준, 왜 이렇게 높나 했더니...
  • 2021,01,04

국민이라면 누구나 법안과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2020년 1월 도입된 국회 국민동의청원. 실제로 해보니 문턱은 높았습니다. 국민동의청원이 그 이름...

[이슈리포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
  • 2021,01,08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유명무실 윤리특위, ‘제 식구 감싸기’ 징계 왜 안 바뀌나윤리특위 상설화, 별도 의회윤리법 제정해야...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이해충돌 관련 정보의 상시 공개 등 2월 국회서 결론 내놔야 2월 임시 국회가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났지...

[질의서]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위한 국회법 개정 여부에 대해 질의했습니다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 공개 질의 국회는 2월 논의 약속 반드시 지켜야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 일정 밝히고 신속하게 논의해야 지난 202...

[카드논평] 수당 인상분 반납으로 퉁치기? 수당법 개정해!
  • 2021,02,19

지난 2월 8일, 국회는 2021년 국회의원 수당 인상분(공무원공통보수인상률 0.9% 반영, 월 77,300원)을 올 12월까지 코로나 극복을 위해 반납하기로 결...

[팩트시트]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 의혹이 있나? 21명 의원, 23개 사건
  • 2021,03,09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이 있나?> 팩트시트 바로 가기 (클릭!) 주식, 겸직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이해충돌 의혹 제기되고 있어 국회법 개정과...

[이달의국회를알리오] 2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3,12

2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코 앞으로 다가온 ‘상시 국회’, 국회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하나
  • 2021,03,24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하나 국회운영위 공청회 이후 한번도 안열려 이해충돌 정보 사전/상시 공개 및 이해충돌 판단기구 마련 필...

[논평]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 2021,03,25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사적이해관계 신고 내역 등 이해충돌 정보 상시 공개돼야 지난 3월 22일, 국회운영위원회는 국회의원 당선 후...

[논평]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 2021,04,02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

[이달의국회를알리오] 3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4,06

‘상시 국회’ 약속한 국회, 3월 임시국회는 어땠나 이슈브리프 통해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현황 공개 한 차례도 열지 않은 상임위 등 ‘상시 국회’ 의...

[논평]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 2021,04,23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옥죄는 공직선거법 전면 개정 필요 국회는 선관위 과잉단속 수수방관 말고 공직...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발자국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 2021,04,23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걸음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합의안 폐기 당연, 상시공개해야 윤리심사자문위 ...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2021,04,30

드디어 오늘(4/2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박덕흠, 이상직 등 국회의원의 끊임없는 이해충돌 논란...

[이달의국회를알리오] 4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 2021,05,20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

[논평]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 2021,05,24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건축사업자,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 피하기 어렵고 금지된 영리업무일 가능성 있어 국회법 위반 ...

[보도자료] 국회의장님, 김진표 의원의 영리업무 종사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2021,05,25

‘김진표 의원 영리업무 종사 금지 위반 여부’ 국회의장에 확인 요청 국회의장은 즉각 확인하고, 윤리심사자문위 의결 내용 공개해야 오늘...

[입법의견서]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 2021,06,03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1년 간 미공개 1,625건, 불수리 18건, 미성립 102건, 성립 단 14건 성립 14건 중 처리된 청원 단 3...

[입장] 선관위 정치관계법 개정 의견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
  • 2021,06,18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 조치 의견 긍정적이나 선관위 자의적 단속 권한 강화 매우 우려 국회는 6월 임시회에서 정치관계법 개정 논의 시작해야 유권자 ...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