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Jul 21, 2022

 

20220721 헌재 판결

 

‘총선넷은 무죄’ 확인한 위헌 결정 환영한다

유권자 표현의 자유 확대를 위해 지속 활동해온 시민운동의 성과

국회는 신속한 선거법 개정으로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호해야

재심 청구와 후속 법 개정을 위한 활동 이어나갈 것

 
오늘(7/21), 헌법재판소가 참여연대가 대리하여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여 헌법소원이 제기된 선거법 90조 1항과 93조 1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103조 3항에 대해서는 단순위헌 결정을 내렸다(2018헌바357, 2018헌바394). 선거 기간 동안 유권자들을 입막음 해온 것은 물론 다양한 정치적 표현들을 과도하게 제약해 수 많은 '선거사범' 탄생의 주역이었던 독소조항이 뒤늦게나마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확대하기 위해 활동해 왔던 참여연대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환영한다. 선거법 독소조항으로 이미 수 많은 선량한 시민들이 ‘선거사범’이 된 만큼, 국회는 즉시 선거법 개정에 나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참여연대는 2016총선시민네트워크(이하 2016총선넷) 시민활동가 22인과 공천반대 1인시위 청년활동가를 대리하여 선거법 90조 1항(시설물 설치 등의 금지)과 91조 1항(확성장치 사용 금지), 93조 1항(탈법방법에 의한 문서 · 도화의 배부 ·게시 등 금지), 103조 3항(각종집회 등의 제한) 등에 대해 각각 2018년 8월과 10월에 헌법소원을 청구한 바 있다. 2016총선넷은 지난 2016년 국회의원 선거 당시 후보자들을 평가해 부패나 비위 등으로 얼룩진 낙선 대상자, 중요 정책과제 등을 선정하고 투표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이는 민주주의 국가의 주권자로서 할 수 있는 지극히 상식적인 정치적 의사표현이자 기본권에 속한다. 그러나 검찰과 법원은 낙선 대상 후보자 선거사무소 앞에서 개최한 기자회견과 피켓 등을 문제 삼아 2016총선넷 활동가들을 무더기로 기소하고, 유죄판결했다. 또한 2016년 2월 경 채용비리에 연루된 최경환 의원의 공천을 반대하는 1인시위를 했던 청년활동가에 대해서도 공직선거법상 광고물 게시로 유죄판결했다. 
 
하지만 오늘 헌법재판소의 선거법 90조 1항 · 93조 1항 헌법불합치 결정, 103조 3항 단순위헌 결정으로 당시 2016총선넷의 활동은 지극히 정당한 정치적 기본권 행사였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이미 해당 활동가들에 대한 유죄판결이 확정된지 오래라는 점에서는 뒤늦은 결정이지만, 같은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다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참여연대(대리인 김선휴 · 양홍석 변호사, 참여연대 공익법센터 운영위원)는 2016총선넷 사건과 김민수 1인시위 사건에 대해 재심을 청구하는 등 후속 법률 대응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후보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적 후보에 대한 공천 반대나 낙선운동, 정책선거와 투표참여를 호소하는 것은 유권자의 당연한 권리이며, 선거 시기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정보 교환은 공정한 선거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한다. 이를 옥죄던 선거법 독소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 위헌 결정이 나온 만큼, 국회는 신속히 선거법 개정에 나서야 한다. 다만 이번 결정에서 91조 1항(확성장치 사용제한)에 대해 합헌 판단이 나온 것은 한계다. 집회는 가능한데 확성기 사용은 제한한 셈이다. 정당이나 후보자와 달리 현재 유권자에게는 선거운동을 위한 확성기 사용이 일체 금지되어 있는데, 통상적인 기자회견에서 의사표현을 위해 사용하는 수준의 확성장치조차 처벌하는 것은 분명 과도한 제한이다.   
 
또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달라는 시민들의 외침을 외면하며 선거법 개정 논의를 미뤄왔던 국회의 책임을 묻지 않을수 없다. 언제까지 국회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공직선거법을 바꿔야만 하는 상황에 안주하고 있을 것인가. 국회는 헌법불합치 판정이 내려진 90조 1항과 93조 1항을 최대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개정함은 물론, 91조 1항에 대해서도 개정에 나서야 할 것이다.
 
 
 
▣ 참고1. 2018.07. 2016총선넷, 선거법 독소조항 헌법소원 제기 [보도자료]
▣ 참고2. 2018.10. 참여연대, 공천반대1인시위 처벌조항 헌법소원 청구 [보도자료]
 
▣ 참고3. 2018헌바394(병합) [결정요지]. 2018헌바357(병합) [결정요지]
목록
[성명] ‘총선넷은 무죄’ 확인한 위헌 결정 환영한다
  • 2022,07,21

‘총선넷은 무죄’ 확인한 위헌 결정 환영한다 유권자 표현의 자유 확대를 위해 지속 활동해온 시민운동의 성과 국회는 신속한 선거법 개정...

[보도자료] 국회의원 11명, ‘사적 이해관계 정보’ 자발적 공개
  • 2022,07,21

국회의원 11명, ‘사적 이해관계 정보’ 자발적 공개 ‘사적 이해관계 정보’ 공개 여부에는 24명만 찬성 정보공개 등 세부내용 ...

[논평] 국회는 원구성 협상 완료하고 정개특위 신속히 구성해야
  • 2022,07,21

국회는 원구성 마무리하고 정개특위 신속히 구성해야 국회 · 전문가 · 시민이 함께하는 선거제 개혁의 공론화 과정 필요 어제(7/18) 국...

[질의서] 21대 국회의원 전원에게 사적 이해관계 정보의 공개에 대한 질의서를 발송했습니다
  • 2022,07,12

21대 국회의원 전원에게 ‘사적 이해관계 정보의 공개에 대한 질의서’를 발송했습니다. 관련 국회 규칙 미비로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제...

[토론회] 위임 입법의 한계와 국회의 통제 방안을 모색해보았습니다
  • 2022,07,12

위임입법 남용, 정파간 대립 넘어 입법 역량 강화로 해결해야 <위임 입법의 한계와 국회의 통제 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2022년 7월 6일 오후 2시, 참...

[성명] 국회의원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결정 철회하라
  • 2022,06,28

국회의원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결정 철회하라 의원 본인 이해충돌 정보는 공표목적 정보, 비공개는 법 취지 훼손 양대 정당도 개정 국회법 이행 위한...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합의로 원구성해야
  • 2022,06,21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합의로 원구성해야 민생⋅개혁 현안 산적, 법사위원장 차지 위해 원구성 지연 용납불가 국회법 개정해 법사위 체계자...

[뉴스레터] 국회감시 뉴스레터 '월간국감'을 한 달에 한 번 만나보세요
  • 2022,06,21

“안녕하시오, 나는 국회‘마늘’ 감시하고 국회의원‘마늘’ 바라보는 알리오열리오! (a.k.a 유마늘) 마늘이가 국회 감시 ...

[이의신청] 국회의원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한 국회에 이의신청합니다
  • 2022,06,06

국회의원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한 국회사무처에 이의신청을 했습니다 국회법 개정 취지따라 의원 본인의 사적 이해관계 정보 공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

이상한 나라의 행동하는 유권자 살아남기 게임에 도전해보세요!
  • 2022,05,12

이상한 나라에 사는 당신! 요즘 이상한 나라에서는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자치의원을 뽑는 지방선거를 한 달여 앞두고 시끌벅적합니다. 이...

[논평] 국민의당, 정책 비판 전문가 고발 즉각 취하해야
  • 2022,05,02

국민의당, 정책 비판 전문가 고발 즉각 취하해야 선거시기 전문가와 시민에 대한 입막음 소송 말아야 지난 3월 4일 국민의당이 안철수 후보의 발언을 ...

[논평] 정치개혁 외치고도 쪼개기 묵인한 민주당의 위선
  • 2022,04,29

정치개혁 외치고도 쪼개기 묵인한 민주당의 위선 다시 재현된 기초의회 ‘선거구 쪼개기’ 유감 국회는 범시민 논의기구 설치해 선거제 개...

[입법의견서] 시민의 청원을 무기한 심사 연장하는 국회법 바꿔야합니다
  • 2022,04,29

시민 제출 청원 무기한 심사 연장 국회법 바꿔야 참여연대, 6건의 개정안에 대한 입법의견서 제출 20대 국회에 이어 21대 국회 또한 시민들이 제출한 ...

[기자회견] 정치개혁 합의 무시하는 선거구획정위와 시·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규탄한다!
  • 2022,04,29

ⓒ이은주의원실 오늘(4/26) 오전 11시, 정치개혁공동행동은 기본소득당,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과 함께 ‘정치개혁 합의 무시하는 선거...

[칼럼] 의회민주주의 훼손을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 2022,04,29

의회민주주의 훼손을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주장] 국회는 민주적 절차를 지켜 입법적 정당성 확보해야 참여연대 의정감시센...

[논평] 파국 막은 수사-기소 분리 입법 중재안 합의
  • 2022,04,29

파국 막은 수사-기소 분리 입법 중재안 합의 사개특위 구성해, 수사기소기관 견제 균형 논의 이어가야 절차 지키고 국민 지지 얻어야 입법도 실행도 ...

[의견서] 지역정당 설립 제한하는 정당법 위헌성에 관한 의견서 헌법재판소에 제출
  • 2022,04,29

참여연대, 지역정당 설립 제한하는 정당법 위헌성에 관한 의견서 헌법재판소에 제출 정당법 4조 2항 및 17조 등, 정당설립의 자유 및 결사의 자유 침...

[논평] 국회는 중단 없이 정치개혁을 지속해야 한다
  • 2022,04,29

국회는 중단 없이 정치개혁을 지속해야 한다 한 뼘만 나간 선거제 개혁, 민주당과 국힘의 기득권 지키기 규탄 국회의 기초의회 중대선거구 확대 시범...

[성명] 또 다시 좌절된 선거제 개혁, 거대양당 규탄한다
  • 2022,04,29

또 다시 좌절된 선거제 개혁, 거대양당 규탄한다 더 이상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길 수 없다! 국회내에 정치개혁안 마련 위한 범시민논의기구 구성하라 ...

[성명] 선거제 개혁 무산, 기득권 택한 거대양당 규탄한다
  • 2022,04,29

선거제 개혁 무산, 기득권 택한 거대양당 규탄한다 민주당은 지방의회에서 기초의회 4인 선거구 분할 않겠다 선언해야 주권자 참여하는 범시민논의기...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