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Dec 15, 2021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근데 국회 심사는?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청원 기간 늘리고, 공개 요건도 대폭 완화해야

국민동의청원안 심사 기한 제한하고, 심사 의무화해야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을 현행 30일 내 10만 명 동의에서 30일 내 5만 명 동의로 완화하는 <국회청원심사규칙 일부개정규칙안>이 내일(12/9)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다. 국회가 문턱이 너무 높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청원 성립 요건을 완화한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성립요건이 완화되더라도 국회가 청원 심사를 미루지 못하도록 제도를 바꾸지 않으면 국민동의청원 제도 도입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이번 개정에 이어 청원 심사를 무기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국회법 독소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국민동의청원 제도 시행 이후 2021년 10월 말까지 3,484건의 청원이 제출되었고, 이 중 성립된 청원은 단 29건(0.8%)에 불과했다. 기존 3,484건 중 새롭게 개정되는 5만 명 동의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기존 29건에 더해 5건만이 5만 명을 넘을뿐이다. 여전히 문턱은 너무 높다. 성립요건을 5만 명으로 완화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30일 기간을 60일로 늘릴 필요가 있다. 또한 30일 내 100명 찬성을 요하는 청원 공개요건도 30일 내 20명으로 대폭 완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국민동의청원 제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국민동의청원을 하면 국회가 대답할 것이라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그러하지 못했다. 성립된 청원 29건 중 국회가 심사를 완료한 것은 20대 국회 7건 중 2건, 21대 국회 22건 중 3건에 불과하다. 실제로 국회 각 상임위는 차별금지법 제정,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등 어렵게 제출한 국민동의청원안 심사 기한을 21대 국회 임기만료일까지 연장한 상태다. 국민 10만 명의 동의를 얻더라도 국회가 심사하지 않으면 어찌해볼 방법이 없다. 청원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겠다며 국민동의청원 제도를 도입한만큼 국회에 청원안 심사를 강제할 필요가 있다. 국회법 제59조의2 단서 조항인 ‘다만 위원장이 간사와 합의하는 경우’나 제125조 6항의 단서 조항인 ‘장기간 심사를 요’하는 경우 심사를 무기한 연장하는 독소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또한 심사 과정에서 청원인의 청원 취지 설명 기회를 부여하고 공청회를 여는 등 청원안에 대한 의견 수렴도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 국회의 후속조치를 기대한다.
 
 
목록
[논평] 확진자 사전투표 혼란, 21세기에 웬말인가
  • 2022,03,07

확진자 사전투표 혼란, 21세기에 웬말인가 직접선거, 비밀선거 원칙 지켜져야 지난 금, 토(3/4~5) 1,632만명이 넘는 유권자가 주권 행사에 참여했고, ...

[공약평가] 20대 대선 후보의 정치·사법·행정 분야 공약의 개혁성과 구체성은?!
  • 2022,03,07

ⓒ 참여연대가 개혁성과 구체성을 기준으로 평가한 20대 대선 후보의 정치·사법·행정 분야 공약 참여연대가 20대 대선 후보들의 정치&mi...

[대선논평] 윤석열 후보의 정치개혁 공약은 뭔가
  • 2022,02,28

윤석열 후보의 정치개혁 공약은 뭔가 ‘정치공약’ 자체가 없는 제1야당 후보, 우려스러워 지난 2월 25일, 정치 분야를 주제로 한 대선 후...

[논평] 민주당, 정치개혁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줘야
  • 2022,02,24

민주당, 정치개혁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줘야 오늘(2/24),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당대표는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위성 정당을 방지하는 연동...

[성명] 국회 정개특위의 직무유기를 규탄한다
  • 2022,02,17

내일(2/18)은 금년 6월 1일에 실시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장(기초단체)과 구청장, 광역 시·도의원, 기초 시·구 의원 예비 ...

[논평] 이재명 후보 구체적인 정치개혁 공약 제시해야
  • 2022,02,15

어제(2/14),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표의 등가성이 보장되는 선거제 개혁’, ‘비례대표 확대’, ‘비례대표제를 왜...

[대선논평] 민주당 정치개혁안 알맹이가 빠졌다
  • 2022,02,15

민주당 정치개혁안 알맹이가 빠졌다 정치불신 편승말고 거대정당 기득권 내놓아야 어제(1/27) 더불어민주당 정당혁신추진위원회가 이재명 더불어민주...

[논평]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 2022,01,06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윤리특위)가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윤리심사자문위)에 4...

[논평] 피선거권 연령 18세로 하향, 늦었지만 당연
  • 2021,12,28

피선거권 연령 18세로 하향, 늦었지만 당연 유권자 표현의 자유 확대 등 정개특위 분발해서 활동해야 오늘(12/28),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하 정...

[입법청원]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하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야 합니다
  • 2021,12,15

△ 참여연대는 임기 중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구금 중 국회의원에게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

[논평]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 2021,12,15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청원 기간 늘리고, 공개 요건도 대폭 완화해야 국민동의청원안 심사 기한 제한하고, 심사 의무화해야...

[공동기자회견] 지방선거 3~4인 선거구 확대와 비례대표 대폭 확대를 통해 지방정치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 2021,12,15

내년 6월은 8기 지방선거입니다. 어찌보면 대통령 선거보다 시민들에게 더욱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선거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팩트시트] 21대 국회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기록합니다.
  • 2021,12,15

"그 의원은 징계 심사 제대로 받고 있나?" 참여연대가 기록합니다 참여연대, <의원님은징계중> 팩트시트 발표 21대 국회에 제출된 의원 징계안 18건 ...

[성명] 표의 비례성 왜곡하는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해야 합니다
  • 2021,12,15

국회 정개특위, 표의 비례성 왜곡하는 지방의회선거제도 개혁 등에 적극 임해야 어제(11/9)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하...

[칼럼] 국민 목소리 무시하는 국회를 바꾸려면
  • 2021,10,29

4.16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개정, 차별금지법 제정,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등 여러 청원에 직접 참여해보신 경험 있나요? 어렵게 30일 동안 1...

[시민행동]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 2021,10,29

“더 쉬운 청원, 더 많은 목소리 위해 국회 국민동의청원제도 개선하라!”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10월 ...

[카드논평]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논의 이어가야
  • 2021,08,31

오늘(8/31) 본회의에서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기간을 현행 120일에서 60일로 축소하고, 단순 체계 및 자구 심사 외 수정을 금지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 2021,08,23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완전 폐지 등 추가 논의 이어져야 오늘(8/23), 국회운영위원회(위원장 윤호중 ...

[입법의견서] 법사위 체계자구심사, 축소 말고 폐지해야합니다!
  • 2021,08,19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논의 다시해야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에 불과 참여연대 긴급입법의견서 제출 지난 2021년 8월 17일, 국...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 2021,08,17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축소는 미봉책일뿐,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다시 논의해야 반복되는 법사위 다툼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야 오...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