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Jul 07, 2020

주거.부동산 관련 상임위 다주택자 국회의원 및 고위공직자 주택 매각 촉구 48시간 시민서명 돌입

참여연대는 오늘(7/6)부터 48시간 동안 주거부동산 관련 상임위에 속해 있거나 정책 책임자인 다주택자 국회의원 및 정부 고위공직자들에게 이해충돌을 방지해 공정한 직무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거주 목적 외 주택을 한 달 내에 매각할 것을 촉구하는 긴급 시민 서명에 돌입했습니다.    

 

부동산 정책 담당 고위공무원+국회의원들,1주택 빼고 다 팔아라!

48시간 긴급서명 ▶️ https://bit.ly/2Z019NK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지난 3년 동안 21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지만, 땜질식 핀셋 규제와 오락가락하는 정책 추진으로 주택 가격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는 낮아지고, 집값 상승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과 심리적 불안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김현미 국토부장관은 2017년 8.2대책을 발표하면서 “사는 집이 아닌 집은 팔라”고 했고, 지난 12.16 대책 발표 이후 노영민 비서실장과 홍남기 부총리가 나서서 다주택 보유 고위공직자들에게 주택 매각을 권고한 바 있지만, 6개월이 지났는데도 주택을 매각한 고위공직자들은 소수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습니다. 

 

지난 7월 3일 청와대 노영민 비서실장은 청와대 내 다주택 보유 고위공직자들에게 1개월 내 주택을 매각하도록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주거,부동산 정책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고위공직자 중 31%(16명 중 5명)이 다주택자로 확인되었으나 이들이 보유한 거주 목적 외 주택에 대한 매각 권고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표1>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고위 공무원 다주택자 현황

  (단위 : 천원)

소속

직위

성명

주택수

건물 소계

기획재정부


 

부총리 겸 장관

홍남기

2

774,940

1차관

김용범

2

1,142,750

기획조정실장

백승주

2

1,198,934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김상도

2

1,210,000

국토도시실장

박무익

1+1

405,000

* 대상 : 기획재정부(8명 장관, 제1차관, 제2차관, 차관보, 국제경제관리관, 재정관리관, 기획조정실장, 세제실장)*현 예산실장(5.8 승진,  아직 재산이 공개되지 않음)제외함. 국토교통부(8명 장관, 제1차관, 제2차관, 기획조정실장, 국토도시실장, 주택도시실장, 교통물류실장, 항공정책실장) 

* 재산 등록 대상인 4급 이상 고위공직자(공직자윤리법 제3조) 가운데 재산 공개 대상은 1급 이상(공직자윤리법 제10조)임.    

* 관보에 재산 신고된 건물 중 주택은 본인과 배우자 소유의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다가구 주택, 빌라 등을 포함. 

* 부부 공동 소유인 경우 현재가액을 합산하여 1채로 산정함. 

* 신고된 사항만으로 주거용도와 업무용도 구분이 어려운 오피스텔과 복합건물(상가+주택)은 + 다음의 숫자로 표기함. 예)주택 1채, 오피스텔 2채는 1+2
* 건물소계 : 고위공지자와 배우자 소유의 단독주택의 토지, 건물 및 구분소유 주택이나 상가 등, 해당 공직자가 등록한 가격(공직자윤리법 제4조)

 *  금전채권에 해당하는 전세권과 임차권은 소계에서 제외.

 

다주택  보유 고위공직자(장차관, 실국장급)부터 거주용도의 1주택을 제외한 주택을 매각해 문재인 정부의 주거 안정 정책의 의지를 분명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실제 주거, 부동산 정책에 책임을 지고 있는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의 경우 3급 이상 고위공무원들도 이러한 국민적 요구에 응답해야 할 것입니다. 거주용 1주택 외 주택을 매각하지 않는 고위공무원은 주거 부동산 정책 결정 직무에서 배제하는 조치가 취해져야 합니다. 

 

부동산 불평등 해소와 조세형평성을 위한 종부세 강화, 등록임대주택에 대한 과도한 특혜 폐지, 강력한 집값 및 전월세 안정화 입법을 추진해야 할 국토교통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국회의원 30%(56명 중 17명)이 다주택자인 것도 큰 문제입니다.

<표2>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다주택자 의원 현황  

                                                                    (단위 : 천원)

 

소속

주택수

성명

정당

건물 소계

재산신고액

1

기재위

4

박덕흠

미래통합당

6,110,108

55,498,550

2

기재위

2(3)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352,500

3,465,833

3

기재위

2+1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1,646,480

2,491,955

4

국토위

2

김미애

미래통합당

1,447,784

1,508,032

5

국토위

2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3,046,708

2,747,768

6

국토위

2

서범수

미래통합당

1,508,000

2,389,297

7

국토위

2

서일준

미래통합당

569,900

1,229,416

8

국토위

2

성일종

미래통합당

2,755,000

20,963,704

9

기재위

2

송언석

미래통합당

2,365,546

4,859,181

10

기재위

2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700,000

3,423,493

11

기재위

2

유경준

미래통합당

1,371,000

2,407,860

12

기재위

2

윤희숙

미래통합당

490,000

1,242,128

13

국토위

2

정동만

미래통합당

388,530

1,243,174

14

국토위

2

조오섭

더불어민주당

175,298

204,533

15

기재위

1+1

류성걸

미래통합당

1,451,499

1,782,882

16

국토위

1+1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578,700

510,124

17

국토위

1+1

이양수

미래통합당

506,000

869,371

 

* 대상 : 21대 국토교통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56명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재산 신고된 건물 중 주택은 본인과 배우자 소유의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다가구 주택, 빌라 등을 포함. 다만, 복합건물(상가+주택)이라도 토지 면적 및 건물 면적을 고려해 건물 전체를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면 1주택으로 포함

* 부부 공동 소유인 경우 현재가액을 합산하여 1채로 산정함. 

* 신고된 사항만으로 주거용도와 업무용도 구분이 어려운 오피스텔과 복합건물(상가+주택)은 + 다음의 숫자로 표기함. 예)주택 1채, 오피스텔 2채는 1+2

* 주택 수,  성명 순으로 정렬함

* 건물소계 : 의원과 배우자 소유의 단독주택의 토지, 건물 및 구분소유 주택이나 상가 등, 해당 의원이 공직 후보 선거를 앞두고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가격(공직자윤리법 제4조)

* 금전채권에 해당하는 전세권과 임차권은 소계에서 제외.

정성호 의원, 6월8일 주택1채(1/10 공동지분) 공동상속자에게 지분을 증여한 사실을 해명해와 주택 3채에서 2채로 정정함.

 

주거권네트워크가 지난 6/3 발표한 21대 국회의원 다주택자 현황자료에 따르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지난 4.15 총선 당시 다주택자를 공천에서 배제하겠다고 했지만 당선자의 41명이 다주택자이며, 당선자의 40명이 다주택자인 미래통합당은 아예 지난 총선에서 부동산 투기를 조장할 규제완화 정책과 종부세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습니다. 부동산 세제와 주거부동산 입법을 담당하는 상임위 위원들 만큼은 공정한 직무 수행을 위해 거주 목적 외에 보유한 주택을 매각하고, 매각하지 않을 경우 공직자윤리법상 이해충돌 방지 의무에 따라 타 상임위로 이동해야 합니다. 

 

서명페이지 링크 : https://campaigns.kr/campaigns/249 

<표1>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다주택자 의원 현황>>

<표2>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고위 공무원 다주택자 현황>>

 

 보도자료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입니다
  • 2020,06,29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오늘(6/29) 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지 약 한 달만에 개최된 본회의에서 전반기 국회 원구성이 볼썽사납게 마...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국회의원수당법 제대로 개정하자!
  • 2020,11,26

#1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꼼수인상 · 중복지급 · 특혜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수당법, 내년에 또 이대로?! #2 국회의원이 보수 받는 이유, ...

탈세 의혹, 채용청탁 정황? 종합적인 의회윤리법 제정이 필요합니다
  • 2020,07,03

반복되는 국회의원들의 윤리의무 위반 문제, 이제는 끝나야 합니다. 최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9대 의원이던 2015년 편법증여와 탈세를 했다...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 2020,10,07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책임지고 정 의원의 검찰 수사 협조를 강제해야 합니다. 지난 10월 5일, 정부가...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됩니다
  • 2020,06,16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돼어제(6/11) 더불어민주당의 ‘일하는 국회 추진단’(이하 추진단)이 토론회를 열고 현재 논의중인 국회법 개정안의...

의원님, 내년에도 월급 셀프 인상하시게요?
  • 2020,11,26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모르쇠하는 국회 운영위 지난 10월 29일, 참여연대가 이중 지급, 특혜 면세, 꼼수 인상 등 논란이 큰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

유마늘의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
  • 2020,05,30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에 오신 것을 환영하오, 낯선 이여! 캐릭명 : 알리오열리오(한국이름 유마늘)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알리고 국회개혁의 문을...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 2020,11,09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오늘(11/2)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투표를 통해 “당 소속 선출직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 2020,09,17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위,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지난 9월 15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특위) 위원장(김진표 의원)이 선임되고 첫 회의가 열렸...

국회의원회관 내 스피드게이트 설치, 왜 해야하나요?
  • 2020,06,17

최근 국회의원회관 3층부터 10층까지 '스피드게이트'가 설치되고 있는 것 아시나요? 국회를 방문해보신 분들이라면 사진 속의 기계에 출입증을 찍고 ...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 2020,12,22

손혜원, 박덕흠 의원 등 국회의원 이해충돌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 논의와 신속한 입법을 촉구합...

국회는 이해충돌이 의심되는 박덕흠의원을 진상조사해야 합니다
  • 2020,08,28

이해충돌과 특혜가 의심되는 박덕흠의원, 국회가 진상조사 해야 합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상임위원인 박덕흠 의원(미래통합당, 보은옥천영동괴산)...

국회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안 하고 뭐했대?
  • 2020,12,22

2021년 국회의원 수당은 연 1억 5,280만 원 구속돼도 약 월 1천만 원 지급, 지급예외조항 정비 안돼 '이중지급・특혜면세・규정미비’ 국회의원수당법,...

국회 국민동의청원 도입 1년여, ‘30일 10만 동의’로 성립 겨우 17건 불과
  • 2020,12,03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공하려면 30일 동안 10만명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불가능한 도전 같았지만 17건이 10만명의 동의를 얻어 청원안이 성립되었습...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 2020,09,11

참여연대, 제21대 국회의원 재산 심사 강화 요청 오늘(9/11),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
  • 2020,06,16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더불어민주당이 어제(6/15) 상임위 구성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미래통합당과의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을...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 2020,11,09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지난 11월 6일, 정정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청주시 상당구)이 정치자금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 위반 혐...

교도소 간 국회의원도 매달 챙겨받는 수당, 왜죠?
  • 2020,12,07

이중 지급, 꼼수 인상, 특혜 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 수당 파헤치기, 참여연대와 함께 알아볼까요? 우리에겐 제대로 된 수당(월급)을 받고, 제대...

[팩트시트]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 의혹이 있나? 21명 의원, 23개 사건
  • 2021,03,09

<그 의원에게는 어떤 이해충돌이 있나?> 팩트시트 바로 가기 (클릭!) 주식, 겸직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이해충돌 의혹 제기되고 있어 국회법 개정과...

[팩트시트] 21대 국회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기록합니다.
  • 2021,12,15

"그 의원은 징계 심사 제대로 받고 있나?" 참여연대가 기록합니다 참여연대, <의원님은징계중> 팩트시트 발표 21대 국회에 제출된 의원 징계안 18건 ...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