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Jan 06, 2022

제식구 감싸기 이제 그만, 윤리특위, 징계 심사 쫌!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윤리특위)가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윤리심사자문위)에 4명의 의원에 대한 자문을 요청한지 56일만인 어제(1/5), 윤리심사자문위는 박덕흠, 윤미향, 이상직 의원에 대해 제명 의견을 제출했다. 국회의원 징계 절차의 첫 걸음을 뗀 것이다. 윤리특위는 그동안 법률을 위반하거나 윤리 문제가 제기된 동료 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차일피일 미루어왔고, 국회의원 징계는 유명무실했다. 윤리특위는 조속한 시일 내에 회의를 열어 징계 심사에 돌입해 결론을 내야 할 것이다.
 

국회법에 따르면 윤리특위는 징계 심사 전 윤리심사자문위의 의견을 청취하고, 윤리심사자문위의 의견을 존중하여 징계를 의결해야 한다. 21대 국회 들어 의원 징계안 18건이 제출되었음에도 윤리특위는 합리적 근거와 이유도 없이 단 4건만을 선별하여 윤리심사자문위에 의견을 요구했을 뿐이다. 국회의원의 징계 처분이 결정된 것은 단 한 건도 없다. 윤리특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박덕흠 의원은 국민의힘에 슬그머니 복당하는 일도 있었다. 윤리특위는 더 이상 ‘제식구 감싸기’를 할 것이 아니라 다른 징계안에 대해서도 조속히 징계 절차에 착수하고, 신속하게 징계안을 의결해야 한다. 더이상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어도 임기말까지 어떠한 징계도 받지 않고 임기를 마치는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국회의원 징계안 처리가 유명무실한 근본 원인 중 하나는 부실한 징계 제도 때문이다. 국회의원에 대한 징계가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비상설 윤리특위를 상설화해 운영을 내실화하고 현행 국회법상 의원 징계안에 대한 윤리특위 심사 기간을 명시하여 임기만료로 폐기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윤리심사자문위를 상설 윤리조사위원회로 격상하고, 사전조사권과 심사권, 자료제출요구권, 대외공표권의 권한과 연차보고서 공개 등의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 윤리특위와 징계제도가 오히려 국회의원들의 징계를 막는 방패막이가 되지 않도록 징계 관련 제도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한다. 

 

▣ 붙임자료 : <의원님은징계중 - 국회 윤리특위 회부된 21대 국회의원> 팩트시트

 

논평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입니다   2020.06.29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국회의원수당법 제대로 개정하자!   2020.11.26
탈세 의혹, 채용청탁 정황? 종합적인 의회윤리법 제정이 필요합니다 (2)   2020.07.03
참여연대가 주목한 21대 전반기 국회 디딤돌ㆍ걸림돌 법안 표결   2024.05.31
참여연대가 주목한 21대 국회 후반기 디딤돌·걸림돌 법안   2024.05.31
참여연대 22대 총선 대응 활동 모음   2024.05.31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2020.10.07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됩니다   2020.06.16
의원님, 내년에도 월급 셀프 인상하시게요?   2020.11.26
유마늘의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   2020.05.30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2020.11.09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2020.09.17
국회의원회관 내 스피드게이트 설치, 왜 해야하나요?   2020.06.17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2020.12.22
국회는 이해충돌이 의심되는 박덕흠의원을 진상조사해야 합니다   2020.08.28
국회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안 하고 뭐했대?   2020.12.22
국회 국민동의청원 도입 1년여, ‘30일 10만 동의’로 성립 겨우 17건 불과   2020.12.03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2020.09.11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   2020.06.16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2020.11.09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