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Mar 15, 2022

민주당, 정치개혁 약속 실천에 옮겨야

 

민주당, 정치개혁 약속 실천에 옮겨야

정개특위 논의 서둘러 기초의회 3인 이상 중대선거구 획정해야

여당이 된 국민의힘, 다당제 정치개혁 과정에 적극 협조해야

 
어제(3/14)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회 첫 회의에서 다시금 정치개혁 이행을 약속했다. 대통령 선거 직전 민주당은 뒤늦게 정치개혁을 약속하며 지지를 호소한 바 있다. 대선이 끝난 지금이라도 정치개혁 이행 약속을 환기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여전히 민주당이 민의를 반영하는 선거제도를 도입하고 다당제를 정착시킬 정치개혁에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이제 민주당은 말로만 약속할 것이 아니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이하 정개특위)에서 이미 자신들이 공약한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 기초의회 3인 이상 중대선거구 획정, 위성정당 금지 포함한 비례대표제 도입 등 정치개혁,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과제를 신속하게 논의하고 처리하는 등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 
 
대선이 끝났다고 마냥 여유를 부릴 상황이 아니다. 대선만큼이나 한국사회에 중대하고, 유권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방선거가 코 앞(6월 1일)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회는 선거일 전 6개월 전까지 선거구 획정을 하도록 하는 법정기한을 어긴지 오래다. 심지어 지난 2월 18일은 시도의원과 구시의원 및 장의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일이었고, 다가오는 3월 20일은 군의원 및 장의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일이다. 행정안전부는 18일까지 선거구 획정을 요청했지만, 이미 늦어질대로 늦어진 선거구 획정으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는 ‘누가 나의 예비후보자이고, 누가 나의 유권자인지' 알 길 없는 황당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조속한 선거구 획정을 위해서는 획정의 기준에 먼저 합의해야 한다. 지방의회 선거구는 주로 2인 선거구로 획정하거나 4인 선거구로 획정이 되더라도 거대 양당이 야합해 2인 선거구로 쪼개기를 하는 폐단이 계속되어 왔다. 2인 선거구제는 거대 양당에 유리하고 소수정당이나 정치신인이 지방의회에 진출하기에 매우 어려운 구조이다. 기초의회 선거에서 정치적 다양성을 보장하고 다당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3인 이상 중대선거구를 획정하고, 중대선거구를 쪼갤 수 있다는 선거법상의 단서조항도 삭제해야 한다. 국회에는 이미 3-5인 또는 3-4인 중대선거구 확대에 관한 법안이 여러개(정의당 이은주 의원, 민주당 김영배 의원 등) 발의되어 있다. 민주당도 의총을 통해 3인 이상 중대선거구 확대를 당론으로 약속한 바 있다. 선거구 획정 시한이 이미 지난만큼 국회는 기초의회 3인 이상 중대선거구 도입에 합의하고, 선거구 획정을 서둘러야 한다. 이 외에도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온전한 연동형 비례제 도입 등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야 한다.
 
이제 민주당은 정치개혁 시험대에 다시 올랐다. 민주당이 추진하겠다는 정치개혁 과제들이 그저 ‘선거용’이었는지 아닌지는 이번 정개특위의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드러나고 결과로 확인될 것이다. 이제 여당이 된 국민의힘이 이같은 논의에 동참해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윤석열 당선인과 국민의힘의 공약에서 정치개혁과 관련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소수정당의 의회 진출을 확대해 정치의 다양성을 확대하는 것은 한국 정치의 오래된 합의이다. 이제라도 윤석열 당선인과 국민의힘은 3인 이상 중대선거구 확대 등 선거제도 개혁 논의에 협조해야 한다.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입니다   2020.06.29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국회의원수당법 제대로 개정하자!   2020.11.26
탈세 의혹, 채용청탁 정황? 종합적인 의회윤리법 제정이 필요합니다 (2)   2020.07.03
참여연대가 주목한 21대 전반기 국회 디딤돌ㆍ걸림돌 법안 표결   2024.05.31
참여연대가 주목한 21대 국회 후반기 디딤돌·걸림돌 법안   2024.05.31
참여연대 22대 총선 대응 활동 모음   2024.05.31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2020.10.07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됩니다   2020.06.16
의원님, 내년에도 월급 셀프 인상하시게요?   2020.11.26
유마늘의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   2020.05.30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2020.11.09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2020.09.17
국회의원회관 내 스피드게이트 설치, 왜 해야하나요?   2020.06.17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2020.12.22
국회는 이해충돌이 의심되는 박덕흠의원을 진상조사해야 합니다   2020.08.28
국회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안 하고 뭐했대?   2020.12.22
국회 국민동의청원 도입 1년여, ‘30일 10만 동의’로 성립 겨우 17건 불과   2020.12.03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2020.09.11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   2020.06.16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2020.11.09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