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20대 국회의원 선거, 연령대별 투표율은?

투표율이 낮은 2030청년층을 위한 공약과 정책 실현이 필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분석에 따르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확정된 선거인수는 42,100,398명(전체 인구의 81.6%)입니다.

전체 투표율은 58.0%로 사전투표율은 12.2%를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20대 총선에서 어떤 연령대의 투표율이 가장 높았을까요?




* 그래프 설명 : 제18대 총선과 제19대 총선에서 연령대 60대, 70대, 80대의 투표율 수치가 동일해 보이는 이유는 이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자료에서 연령대를 '60대 이상'으로 통합 표기하였기 때문입니다. 제18대, 제19대 총선에서 60, 70, 80대의 투표율은 평균 수치며, 제20대 총선에서 보이는 80대 이상의 낮은 투표율 변화는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연령대별 투표율은 70대가 73.3%로 가장 높고, 20대(52.7%) 및 30대(50.5%)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투표율이 가장 저조했습니다.

투표율은 40대 이후 유권자층에서 높아지다가 80대에서 다시 낮아졌습니다.


여전히 청년층 투표율이 가장 낮지만, 18대와 19대 총선과 비교하면 2,30대 투표율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19대 총선과 비교하면 

- 30대 후반 2.9%p 상승,

- 30대 전반 7.1%p 상승, 

- 20대 후반 11.9%p 상승,

- 20대 전반 9.9%p 상승,

- 19세는 6.4%p가 상승했습니다.

 

반면 60대 이상의 투표율은 19대 총선과 비슷했습니다. 

투표율이 상승하는 추세인 청년 유권자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사전투표제도 적극적 활용한 19세, 20대 청년 유권자들


이번 20대 총선은 국회의원 선거상 처음으로 사전투표제도가 실시되었으며, 전국적으로 3511곳의 사전투표소를 설치해 별도의 신고 없이 선거일 직전 금요일과 토요일 이틀 동안 사전투표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였습니다. 자신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아닌 실제 거주지를 중심으로 투표할 수 있도록 해서, 청년층의 경우 사전투표소를 이용하는 비율도 높았습니다. 





사전투표율은 19세(18.1%)와 20대(17.9%)가 가장 높았고, 30대(9.8%)로 가면서 낮아졌습니다. 

20대는 선거인 구성비 대비 사전투표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 사전투표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20대 후반은 투표율이 무려 11.9%가 증가했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20대의 투표율이 가장 많은 상승치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대의 높은 사전투표율에 비해 대학 캠퍼스 내 사전투표소는 단 6곳에 불과했습니다. 

청년 유권자들의 투표율을 꾸준히 높이기 위해 대학 캠퍼스 내 사전투표소 설치 확대 등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20대, 30대의 투표참여 이끌기 위한 제도개선 필요


전체 유권자 비율에 맞게 투표참여자 비율을 보일 때, 

우리 국회는 전체 국민의 연령 분포와 부합하는 대표성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20대 총선, 유권자의 연령별 구성비와 실제 투표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차이를 보입니다. 

전체 유권자 가운데 20대와 30대의 유권자는 35.5%, 60대 이상 유권자는 23.6%를 차지하는데 

실제 투표에 참여한 사람 중에 이들 연령대 비율은 20대, 30대은 31.7%, 60대 이상은 28%입니다. 


산술적으로 2030 유권자들은 대표자 선출에 반영할 수 있는 정치적 영향력을 3.8%p 손해를 본 것이고,

60대 이상 유권자들은 4.4%p 이득을 본 셈입니다. 



  


2030 유권자의 경우, 여전히 평균보다도 낮은 투표율로 인해 실제 발휘할 수 있는 표심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낮은 투표율은 빈약한 청년 정책을 만들고, 청년 정책의 부재는 2030의 투표 참여를 저조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030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실질적인 정책과 제도개선이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 포스팅은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인턴활동가인 김형근님이 함께 했습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제 20대 국회의원 투표율 분석 결과(2016)' 보고서를 참고하였습니다.

목록
[이슈포커스] 선거기간 삭제된 게시글 1만7천건, 유권자는 구경만 하라
  • 2016,10,10

선거기간 삭제된 게시글 1만7천건, 유권자는 구경만 하라온라인 선거운동 단속하는 선관위, 여론조사 단순인용, 풍자 만화도 삭제온라인상 유권자 표현...

[이슈포커스] 선관위의 인터넷게시물 삭제 내역 보고서(카드뉴스)
  • 2016,10,05

“선관위의 인터넷게시물 삭제 내역 보고서” 발표 20대 총선 앞두고 각급 선관위, 인터넷게시물 17,101개 단속 여론조사 언급 및 후보자 비판글 과도하...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 2016,09,07

의정활동 기본 중의 기본! 19대 의원 본회의 출석률 공개19대 의원별 4년간(2012년~2016년)의 출석률은? 국회 본회의는 국정 전반에 대한 토론과 함께,...

[카드뉴스] 여러분의 정치적 기본권은 안녕하십니까?
  • 2016,08,25

여러분의 정치적 기본권은 안녕하십니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국회에 선거법 개정 청원 제출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참정권 확대로 규제 투성이 ...

[이슈포커스] 20대 국회의원 선거, 연령대별 투표율은?
  • 2016,07,28

20대 국회의원 선거, 연령대별 투표율은?투표율이 낮은 2030청년층을 위한 공약과 정책 실현이 필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분석에 따르면, 제2...

[이슈포커스] 아까운 내 한 표, 버려지지 않았을까? 국민 4명 중 3명은 투명 유권자
  • 2016,07,20

※ 2016년 7월 7일 발표한 이슈리포트 '20대 총선, 유권자의 지지와 국회 의석배분 현황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한 기고글입니다. 아까운 내 한 표, 버...

[이슈포커스] 20대 국회, 정당별 전원 발의한 첫 번째 법안은?
  • 2016,06,13

20대 국회, 정당별 전원 발의한 첫 번째 법안은? 정당별 전원이 공동 발의한 1호 법안, 들여다보기 20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5월 30일부터 오늘, 6월 1...

[그래픽] 20대 국회의 성별, 연령별 구성은?
  • 2016,06,03

'민의의 전당'인 국회가 제대로 역할을 하려면 연령대와 성별, 학력, 소득 수준도 우리 유권자들과 유사하게,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어야 합니다. 현...

[정책과제] 20대 국회에서 이루어져야할 입법․정책과제
  • 2016,05,31

20대 국회에서 이루어져야할 입법․정책과제 민의에 귀기울이는 20대 국회를 기대합니다.   참여연대는 20대 국회의 임기에 맞추어 2016년 5월 말, 국회...

[이슈리포트] 19대 국회 후반기, 6개 분야 국회 활동 평가 보고서
  • 2016,05,11

“19대 국회 후반기, 6개 분야 국회 활동평가 보고서” 발표 19대 국회, 세월호특별법 제정했으나 정부의 특조위 방해 못 막아 노후보장 기능 강화․주거...

[그래픽] 17대~19대, 우리 국회의 성별, 연령별 구성은?
  • 2016,03,23

  민의의 전당이라고 불리는 국회가 제대로 역할을 하려면  연령대와 성별, 학력, 소득 수준도 우리 유권자들과 유사하게,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어...

[이슈리포트] 한국사회 주요 이슈에 대한 19대 국회의원 발언과 태도
  • 2016,03,22

  이슈리포트 <한국사회 주요 이슈에 대한 19대 국회의원 발언과 태도> 발간 총선에서 유권자가 알아야 할 현역의원 정보 제공 위한 세 번째 보고서 1...

[이슈리포트] 총선 공약으로 이어져야 할 19대 국회 정치개혁 법안들
  • 2016,03,21

총선 공약으로 이어져야 할 19대 국회 정치개혁 법안들 정치개혁 위한 48개 선거법·국회법·정당법 개정안 19대 국회에서 통과되거나 제 정당 총선공약...

[그래픽] 17대~19대 총선, 산 표와 죽은 표는?
  • 2016,03,17

  1천 만표는 폐기처분됩니다 투표의 절반이 국회 구성에 반영되지 않고 버려지는 표, 사표死票가 됩니다.  1등 후보를 찍지 않은 유권자의 뜻은 쓰레...

[그래픽] 2013~2015년 정당별로 지급된 국고보조금은 얼마일까?
  • 2016,03,17

  국고보조금은 정당의 보호와 육성을 위해서 국가가 정당에 지급하는 금전이나 유가증권을 말합니다.  보조금에는 평상시의 경상보조금과 선거가 있...

[이슈리포트] 19대 후반기 - 디딤돌·걸림돌 법안 표결 2016.03.16
  • 2016,03,17

"누가, 어떤 법에 찬성하고 반대했나?" 19대 후반기 국회(2014. 6월~2016. 3월), 디딤돌·걸림돌 법안 표결 보고서 발표 후반기에 처리된 7개 디딤돌 법...

[이슈리포트] 19대 전반기③ - 디딤돌․걸림돌 법안 표결 2014.09.18
  • 2016,03,17

참여연대, <19대 전반기 국회, 디딤돌․걸림돌 법안 표결 보고서> 발표 디딤돌 법안은 대체로 찬성률 높고 여야 모두 개정안 내용에 동의해 걸림돌 법안...

[이슈리포트] 19대 전반기② - 4개 분야 국회 활동 2014.08.25
  • 2016,03,17

“국민의 기대에 미흡했던 19대 국회 전반기” 참여연대, <19대 국회 전반기 평가 보고서 ② - 4개 분야 국회 활동> 발표 갑을개혁 일부 입법 성과에도 불...

[이슈리포트] 19대 전반기① - 국정조사 2014.07.06
  • 2016,03,17

“19대 국회 2년, 5차례 국정조사는 실패 아니면 미흡” 참여연대, <19대 국회 전반기 평가 보고서 ① - 국정조사> 발표 세월호 국정조사, 국민적 요구인 ...

[이슈리포트] 18대 국회 주요 법안 투표결과 2012-02-28
  • 2016,03,17

'유권자가 기억해야 할 18대 국회 주요 법안 투표결과' 보고서 발행 참여연대 선정 반민생․반개혁 17개 법안 투표 결과 분석 19대 총선, 유권자의 선택...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