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Dec 15, 2021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근데 국회 심사는?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청원 기간 늘리고, 공개 요건도 대폭 완화해야

국민동의청원안 심사 기한 제한하고, 심사 의무화해야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을 현행 30일 내 10만 명 동의에서 30일 내 5만 명 동의로 완화하는 <국회청원심사규칙 일부개정규칙안>이 내일(12/9)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다. 국회가 문턱이 너무 높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청원 성립 요건을 완화한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성립요건이 완화되더라도 국회가 청원 심사를 미루지 못하도록 제도를 바꾸지 않으면 국민동의청원 제도 도입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이번 개정에 이어 청원 심사를 무기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국회법 독소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국민동의청원 제도 시행 이후 2021년 10월 말까지 3,484건의 청원이 제출되었고, 이 중 성립된 청원은 단 29건(0.8%)에 불과했다. 기존 3,484건 중 새롭게 개정되는 5만 명 동의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기존 29건에 더해 5건만이 5만 명을 넘을뿐이다. 여전히 문턱은 너무 높다. 성립요건을 5만 명으로 완화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30일 기간을 60일로 늘릴 필요가 있다. 또한 30일 내 100명 찬성을 요하는 청원 공개요건도 30일 내 20명으로 대폭 완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국민동의청원 제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국민동의청원을 하면 국회가 대답할 것이라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그러하지 못했다. 성립된 청원 29건 중 국회가 심사를 완료한 것은 20대 국회 7건 중 2건, 21대 국회 22건 중 3건에 불과하다. 실제로 국회 각 상임위는 차별금지법 제정,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등 어렵게 제출한 국민동의청원안 심사 기한을 21대 국회 임기만료일까지 연장한 상태다. 국민 10만 명의 동의를 얻더라도 국회가 심사하지 않으면 어찌해볼 방법이 없다. 청원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겠다며 국민동의청원 제도를 도입한만큼 국회에 청원안 심사를 강제할 필요가 있다. 국회법 제59조의2 단서 조항인 ‘다만 위원장이 간사와 합의하는 경우’나 제125조 6항의 단서 조항인 ‘장기간 심사를 요’하는 경우 심사를 무기한 연장하는 독소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또한 심사 과정에서 청원인의 청원 취지 설명 기회를 부여하고 공청회를 여는 등 청원안에 대한 의견 수렴도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 국회의 후속조치를 기대한다.
 
 
목록
[시민행동]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 2021,10,29

“더 쉬운 청원, 더 많은 목소리 위해 국회 국민동의청원제도 개선하라!”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10월 ...

[카드논평]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논의 이어가야
  • 2021,08,31

오늘(8/31) 본회의에서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기간을 현행 120일에서 60일로 축소하고, 단순 체계 및 자구 심사 외 수정을 금지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 2021,08,23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완전 폐지 등 추가 논의 이어져야 오늘(8/23), 국회운영위원회(위원장 윤호중 ...

[입법의견서] 법사위 체계자구심사, 축소 말고 폐지해야합니다!
  • 2021,08,19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논의 다시해야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에 불과 참여연대 긴급입법의견서 제출 지난 2021년 8월 17일, 국...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 2021,08,17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축소는 미봉책일뿐,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다시 논의해야 반복되는 법사위 다툼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야 오...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일 뿐
  • 2021,08,10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일 뿐 법사위원장 자리 다툼 막으려면 체계자구심사권 폐지해야 지난 7월 23일,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와...

[칼럼] 국회 국민동의청원, 내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할 수 있을까
  • 2021,07,23

국회 국민동의청원, 내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할 수 있을까 30일 내 10만 명 청원 겨우 성립시켜도 심사에 손 놓아버리는 국회 ▲ 국회국민동의청원 홈페...

[성명] 국회는 윤리특위 연장 아닌 상설화, 정상화하라
  • 2021,06,30

국회는 윤리특위 연장 아닌 상설화, 정상화하라 회의 개최 ZERO(0), 개점휴업 윤리특위, 언제까지 방치할텐가 어제(6월 29일), 국회는 2021년 6월 30...

[논평]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의 필요성 확인해 준 헌재 결정
  • 2021,06,24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의 필요성 확인해 준 헌재 결정 국회는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 서둘러야 헌법재판소 2021. 6. 24. 2018헌마405사건 결정에 관...

[입장] 선관위 정치관계법 개정 의견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
  • 2021,06,18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 조치 의견 긍정적이나 선관위 자의적 단속 권한 강화 매우 우려 국회는 6월 임시회에서 정치관계법 개정 논의 시작해야 유권자 ...

[입법의견서]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 2021,06,03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1년 간 미공개 1,625건, 불수리 18건, 미성립 102건, 성립 단 14건 성립 14건 중 처리된 청원 단 3...

[보도자료] 국회의장님, 김진표 의원의 영리업무 종사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2021,05,25

‘김진표 의원 영리업무 종사 금지 위반 여부’ 국회의장에 확인 요청 국회의장은 즉각 확인하고, 윤리심사자문위 의결 내용 공개해야 오늘...

[논평]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 2021,05,24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건축사업자,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 피하기 어렵고 금지된 영리업무일 가능성 있어 국회법 위반 ...

[이달의국회를알리오] 4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 2021,05,20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2021,04,30

드디어 오늘(4/2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박덕흠, 이상직 등 국회의원의 끊임없는 이해충돌 논란...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발자국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 2021,04,23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걸음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합의안 폐기 당연, 상시공개해야 윤리심사자문위 ...

[논평]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 2021,04,23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옥죄는 공직선거법 전면 개정 필요 국회는 선관위 과잉단속 수수방관 말고 공직...

[이달의국회를알리오] 3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4,06

‘상시 국회’ 약속한 국회, 3월 임시국회는 어땠나 이슈브리프 통해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현황 공개 한 차례도 열지 않은 상임위 등 ‘상시 국회’ 의...

[논평]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 2021,04,02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

[논평]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 2021,03,25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사적이해관계 신고 내역 등 이해충돌 정보 상시 공개돼야 지난 3월 22일, 국회운영위원회는 국회의원 당선 후...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