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Dec 15, 2021

20211215_입법청원_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 위한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 기자회견

△ 참여연대는 임기 중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구금 중 국회의원에게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왔습니다. ⓒ참여연대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 구금 중 수당 지급 말아야 합니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임기 중 체포 또는 구속 등 구금 상태에 있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국회의원의 수당 지급을 중단하는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안을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 소개로 입법청원했습니다. 
 
유성진 소장은 “현행 국회의원수당법은 직무상 상해, 사망할 경우 외에는 수당 지급에 예외사유가 없는 법적 미비로 인해 체포, 구속 등 국회의원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이 분명한 경우에도 국회의원은 매월 기본수당과 입법활동비를 받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렇게 법적으로 지급 예외규정이 미비한 가운데 국회의원이 구속되는 사례가 적잖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국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라며 입법 취지를 밝혔습니다.
 

20211215_입법청원_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 위한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 기자회견

△ 참여연대는 임기 중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구금 중 국회의원에게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하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입법청원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왔습니다. ⓒ참여연대

 

19대부터 전현직 의원 13명이 구금 중 받은 수당 약 13억 8천만 원

민선영 간사는 “참여연대가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및 검찰 보도자료, 언론 기사 등을 조사한 결과, 19대 국회부터 21대 국회 현재(21년 12월)까지 임기 중 구금 상태였던 전현직 국회의원은 19대 국회 박주선, 이석기, 조현룡, 김재윤, 박상은, 송광호, 박기춘 전 의원(7명), 20대 국회 배덕광, 이우현, 최경환 전 의원(3명), 21대 국회 정정순 전 의원과 이상직, 정찬민 현 의원(3명) 등 총 13명에 이르며, 의정활동이 불가능함에도 수령한 수당을 최소 추정치로 합산하면 약 13억 8천만 원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상해, 사망 외에는 지급 중단 규정을 마련하지 않은 현행 국회의원수당법 때문”라고 지적했습니다.
 

'그 의원은 구금 중에도 수당을 얼마나 받았나?' 팩트시트 [크게보기]

 

 

구금 중 의정활동비 지급 중단하는 지자체 사례 본받아야

이재근 권력감시국장은 불법 행위가 의심되어 수사를 받는 국회의원이 구금되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할 경우 기본 수당 및 입법활동비, 특별활동비 등에 대해 수당 지급을 중단하고, 무죄, 면소, 공소기각의 판결 또는 결정이 확정된 경우에는 미지급된 수당 등을 소급하여 지급하도록 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참여연대 입법청원안을 소개했습니다. 또한 “인천 남동구, 광주 광산구, 서울시의회, 경기도의회, 강원도의회, 경남도의회, 경북도의회 등 구금상태에 있는 경우 의정활동비를 지급하지 않도록 다수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규정하고 있지만, 국회에는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을 골자로 하는 법안 발의만 되어있을 뿐,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지방의회를 본받아 국회 또한 구금 상태에 있어 의정활동이 불가능한 국회의원은 수당을 지급하지 않도록 관련 조항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안 윤영덕 의원 소개로 입법청원

이에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은 “국회의원에게는 높은 윤리적·도덕적 책임이 다른 공무원보다 크게 요구된다는 점에서 국회의원이 구속될 때는 그 기간만큼 수당이 지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은 국민의 신뢰를 얻는 방안 중 하나”라며 청원안 소개 취지를 밝혔습니다.  
 
한편 현행 국회의원수당법은 국회의원의 기본적 직무인 의정활동에 지급하는 입법활동비, 회의 참석 수당으로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를 기본 수당이 아닌 30% 면세되는 경비로 지급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국회의원수당이 특혜성 시시비비에서 벗어나고 투명성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을 촉구하는 활동도 이어나갈 것입니다.
 
입법청원안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시민행동]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 2021,10,29

“더 쉬운 청원, 더 많은 목소리 위해 국회 국민동의청원제도 개선하라!” 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진행 10월 ...

[카드논평]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폐지 논의 이어가야
  • 2021,08,31

오늘(8/31) 본회의에서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기간을 현행 120일에서 60일로 축소하고, 단순 체계 및 자구 심사 외 수정을 금지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 2021,08,23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에 그친 국회, 유감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완전 폐지 등 추가 논의 이어져야 오늘(8/23), 국회운영위원회(위원장 윤호중 ...

[입법의견서] 법사위 체계자구심사, 축소 말고 폐지해야합니다!
  • 2021,08,19

국회는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논의 다시해야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에 불과 참여연대 긴급입법의견서 제출 지난 2021년 8월 17일, 국...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 2021,08,17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 말고 폐지하라 축소는 미봉책일뿐,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다시 논의해야 반복되는 법사위 다툼의 근본 원인을 제거해야 오...

[논평]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일 뿐
  • 2021,08,10

법사위 체계자구심사권 축소는 미봉책일 뿐 법사위원장 자리 다툼 막으려면 체계자구심사권 폐지해야 지난 7월 23일,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와...

[칼럼] 국회 국민동의청원, 내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할 수 있을까
  • 2021,07,23

국회 국민동의청원, 내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할 수 있을까 30일 내 10만 명 청원 겨우 성립시켜도 심사에 손 놓아버리는 국회 ▲ 국회국민동의청원 홈페...

[성명] 국회는 윤리특위 연장 아닌 상설화, 정상화하라
  • 2021,06,30

국회는 윤리특위 연장 아닌 상설화, 정상화하라 회의 개최 ZERO(0), 개점휴업 윤리특위, 언제까지 방치할텐가 어제(6월 29일), 국회는 2021년 6월 30...

[논평]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의 필요성 확인해 준 헌재 결정
  • 2021,06,24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의 필요성 확인해 준 헌재 결정 국회는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 서둘러야 헌법재판소 2021. 6. 24. 2018헌마405사건 결정에 관...

[입장] 선관위 정치관계법 개정 의견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
  • 2021,06,18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 조치 의견 긍정적이나 선관위 자의적 단속 권한 강화 매우 우려 국회는 6월 임시회에서 정치관계법 개정 논의 시작해야 유권자 ...

[입법의견서]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 2021,06,03

국민동의청원 성립 요건 완화 및 심사 의무화해야 1년 간 미공개 1,625건, 불수리 18건, 미성립 102건, 성립 단 14건 성립 14건 중 처리된 청원 단 3...

[보도자료] 국회의장님, 김진표 의원의 영리업무 종사 여부를 확인해주세요.
  • 2021,05,25

‘김진표 의원 영리업무 종사 금지 위반 여부’ 국회의장에 확인 요청 국회의장은 즉각 확인하고, 윤리심사자문위 의결 내용 공개해야 오늘...

[논평]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 2021,05,24

김진표 의원, 민주당 부동산특위 위원장직 내려놔야 건축사업자, 직무수행의 공정성 논란 피하기 어렵고 금지된 영리업무일 가능성 있어 국회법 위반 ...

[이달의국회를알리오] 4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공개
  • 2021,05,20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2021,04,30

드디어 오늘(4/2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박덕흠, 이상직 등 국회의원의 끊임없는 이해충돌 논란...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발자국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 2021,04,23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개정안, 반걸음에 불과, 후속 논의 이어져야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 합의안 폐기 당연, 상시공개해야 윤리심사자문위 ...

[논평]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 2021,04,23

공직선거법 제90조, 제93조제1항 폐지 돼야 유권자 표현의 자유 보장 옥죄는 공직선거법 전면 개정 필요 국회는 선관위 과잉단속 수수방관 말고 공직...

[이달의국회를알리오] 3월 임시국회 각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공개
  • 2021,04,06

‘상시 국회’ 약속한 국회, 3월 임시국회는 어땠나 이슈브리프 통해 각 상임위 개회 및 출결현황 공개 한 차례도 열지 않은 상임위 등 ‘상시 국회’ 의...

[논평]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 2021,04,02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

[논평]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 2021,03,25

이해충돌 관련 정보 왜 국민에게 숨기나 사적이해관계 신고 내역 등 이해충돌 정보 상시 공개돼야 지난 3월 22일, 국회운영위원회는 국회의원 당선 후...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