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Oct 29, 2021

4.16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개정, 차별금지법 제정,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등 여러 청원에 직접 참여해보신 경험 있나요? 어렵게 30일 동안 10만 명의 서명을 모아 국회에 접수한 청원을, 정작 국회의원들이 거들떠도 보지 않고 무작정 심사를 미루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계셨나요? 

 

국민 목소리 무시하는 국회를 바꾸려면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을 위한 서명하기

 

20211013_국회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 촉구 국회 앞 시민행동

▲  국회가 심사해야 할 18건의 국민동의청원을 국회 앞에 쌓아보았습니다 ⓒ참여연대

 

"왜 국회는 법안 하나를 처리하기 위해 오랜 시간 토론하고, 국회의원들 서로 설득하면서 10만 명의 국민이 모일 시간은 충분히 주지도 않고, 청원안은 심사조차 하지 않는 겁니까?"

 

국회 앞에서 마이크를 든 한 시민이 외쳤습니다. 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을 바꿔달라는 요구를 하려면, 30일 동안 10만 명이나 되는 동료 시민을 모아오라고 하느냐고요. 왜, 10만 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제출한 국민동의청원을 국회는 정작 심사하지 않느냐고요. 

 

국회가 너무해 ① 2024년까지 청원안 심사를 미룬다구요?

 

"2024년 5월 29일까지 청원 심사를 연장하겠다"

 

30일 내 10만 명을 간신히 모아 어렵사리 성립된 청원을 앞에 두고 국회에서 종종 하는 말입니다. 

 

2024년 5월 29일은 21대 국회의원 임기 마지막날입니다. 임기만료가 되면 발의 또는 청원안들이 리셋되어 사라집니다. 다시말해 국회의원님들은 10만 명의 서명이 담긴 청원안을 심사할 생각조차 없다는 겁니다. 간신히 10만 명 동의를 모아 청원을 성립시켜놨더니 국회는 심사를 일단 미루고 있는 것입니다. 

 

의원님들은 직접 발의한 법안에 대해서는 그렇게 열심히 심사하시면서, 30일 동안 어떻게든 10만 명을 모아 어렵사리 성립된 청원을 왜 심사조차 하지 않고 방치하는걸까요?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청원을 무기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국회법' 때문입니다. 

 

이대로는 안 됩니다. 국회법 제59조의2 단서 조항은 '다만 위원장이 간사와 합의하는 경우' 청원안을 상정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합니다. 또, 제124조 6항의 단서조항인 '장기간 심사를 요'하는 경우의 청원은 일정 기간 내에 심사하지 않아도 됩니다. 국회가 국민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않아도, 검토하지 않아도, 답변하지 않아도 되는 이 독소조항들의 삭제가 필요합니다. 

 

국회가 너무해 ② 고작 30일 안에 10만명이나 모아오라고요?

 

아니, 어떻게 성립시킨 청원인데 국회가 이렇게 홀대 할 수 있죠? 

 

국민동의청원 어떻게 하면 되나요?

▲  국회 국민동의청원의 과정 ⓒ참여연대

 

맞습니다. 국회가 심사하길 마냥 기다리는 일도 참 힘들지만, 청원 성립을 시도하는 일마저도 무척 힘듭니다.

 

첫째, 청원을 등록하고 나면 뜨는 링크를 30일 안에 100명에게 돌려 '공개 찬성'을 받고요. 둘째, 심사를 통해 국회가 다뤄야 하는 사안이라 판단되면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그리고 셋째, 공개된 청원은 또 다시 30일 동안 10만 명의 '동의 서명'을 받아야 해요. 

 

이 세 가지 관문을 통과한 청원은 3,311건 중 고작 26건에 불과합니다. (2020년 1월 10일부터 2021년 8월 31일 사이) 청원 성립 성공률이 단 1%도 되지 않는다니, 괜히 청원의 문턱이 높다~ 청원이 어렵다~ 하는 것이 아니네요.

 

이렇게 어려운 청원 성립 요건을 누가 만들었을까요? 바로 20대 국회 때, 국회운영위 소속이었던 두 의원의 '우려'와 나머지 8명 의원들의 '침묵'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20대 국회운영위원회는 90일 동안 5만 명의 서명을 두고 논의를 시작했으나,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은 "20명이라는 공개 요건이 너무 적다며 높일 것을 주문했고, 90일 이내라는 성립 요건 또한 30일로 맞추자"고 했고,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은 "청원이 너무 간소화해지는 것이 지나치다 보면 정반대의 청원이 마구잡이로 올라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청원 성립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더 많은 시민의 요구를 국회에 전달하자는 일이, 청원이 마구잡이로 올라올 수 있다는 등의 '우려'로 더욱 어려워진 것입니다.

 

이대로는 안 됩니다. 30일 내 20명이 찬성하면 청원을 공개하고, 60일 내 5만 명이 서명하면 청원이 성립되어 국회가 심사할 수 있도록 국회청원심사규칙을 개정해야 합니다. 

 

청원 제도를 바꿔달라고 청원해야 하는 아이러니지만

 

단 하나의 법을 만들어달라거나, 바꿔달라는 청원에 10만 명이나 되는 시민이 30일 안에 서명을 완료했다는 것은 그만큼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시민이 이만큼 노력해서 청원을 제출했다면, 국회는 응당 시민의 요구에 대답해야 하지 않을까요?

 

국민동의청원 제도 개선을 위한 서명하기

 

시민의 목소리를 담은 청원을 국회가 무시할 수 없도록, 국회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국회에 제대로 알려주려고 합니다. 청원 제도를 개선하라고 다시 청원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지만, 여러분이 이 서명운동에 함께해주신다면 국회가 좀 더 압박감을 느낄거예요. 

 

회원가입 bit.ly/GoPSPD

 

뉴스레터 구독하기

 

카카오톡 친구맺기

 

 

본 기고글은 오마이뉴스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이해충돌 관련 정보의 상시 공개 등 2월 국회서 결론 내놔야 2월 임시 국회가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났지...

[이슈리포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
  • 2021,01,08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유명무실 윤리특위, ‘제 식구 감싸기’ 징계 왜 안 바뀌나윤리특위 상설화, 별도 의회윤리법 제정해야...

[칼럼] 국회 청원 성립 기준, 왜 이렇게 높나 했더니...
  • 2021,01,04

국민이라면 누구나 법안과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2020년 1월 도입된 국회 국민동의청원. 실제로 해보니 문턱은 높았습니다. 국민동의청원이 그 이름...

[팩트시트]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 2020,12,23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30일 이내 10만 동의 성립요건 청원권 보장 아니라 제약 10만 동의해 성립해도 방치하는 국회, 당장 ...

[카드뉴스] 무책임한 탈당정치 이제 그만!
  • 2020,12,23

#1 이러다 국회에 새로운 교섭단체 출현하겠어, 이름은 '탈당' 짤린 꼬리 다섯 전봉민, 박덕흠, 이상직, 김홍걸, 양정숙 #2 국민의힘 전봉민(현 무소...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 2020,12,22

손혜원, 박덕흠 의원 등 국회의원 이해충돌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 논의와 신속한 입법을 촉구합...

국회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안 하고 뭐했대?
  • 2020,12,22

2021년 국회의원 수당은 연 1억 5,280만 원 구속돼도 약 월 1천만 원 지급, 지급예외조항 정비 안돼 '이중지급・특혜면세・규정미비’ 국회의원수당법,...

[논평] 비례대표의 ‘민주적 선출절차 조항’ 삭제한 거대양당의 야합
  • 2020,12,11

비례대표의 ‘민주적 선출절차 조항’ 삭제한 거대양당의 야합 위성정당 창당에 이어 비례대표 민주적 정당성 훼손한 거대정당의 후안무치한 행태 민주당...

[논평] ‘일하는 국회’ 첫 발, 늦었지만 다행
  • 2020,12,09

‘일하는 국회’ 첫 발, 늦었지만 다행‘제대로’ 일하는 국회, 질적 개선 위한 후속 입법 신속히 이뤄져야법사위 체계자구심사 권한 폐지, 이해충돌 방지 ...

교도소 간 국회의원도 매달 챙겨받는 수당, 왜죠?
  • 2020,12,07

이중 지급, 꼼수 인상, 특혜 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 수당 파헤치기, 참여연대와 함께 알아볼까요? 우리에겐 제대로 된 수당(월급)을 받고, 제대...

국회 국민동의청원 도입 1년여, ‘30일 10만 동의’로 성립 겨우 17건 불과
  • 2020,12,03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공하려면 30일 동안 10만명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불가능한 도전 같았지만 17건이 10만명의 동의를 얻어 청원안이 성립되었습...

의원님, 내년에도 월급 셀프 인상하시게요?
  • 2020,11,26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모르쇠하는 국회 운영위 지난 10월 29일, 참여연대가 이중 지급, 특혜 면세, 꼼수 인상 등 논란이 큰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국회의원수당법 제대로 개정하자!
  • 2020,11,26

#1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꼼수인상 · 중복지급 · 특혜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수당법, 내년에 또 이대로?! #2 국회의원이 보수 받는 이유, ...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 2020,11,09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지난 11월 6일, 정정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청주시 상당구)이 정치자금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 위반 혐...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 2020,11,09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오늘(11/2)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투표를 통해 “당 소속 선출직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

[궁금한이야기X ③] 중앙선관위의 선거비용 관리감독 실태, 이대로 괜찮겠습니까?
  • 2020,10,26

참여연대는 ‘지난 총선, 정책개발비 한푼도 안 쓴 정당을 공개합니다’로 선거비용을 분석한 바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 발 더 ...

'의원님은 재판 중!' 수사 및 재판 중인 21대 국회의원을 알아보세요
  • 2020,10,19

21대 국회의원 중 49명이 수사받고 있거나 재판 중이라고? 21대 총선 공직선거법 위반 기소 28명, 패스트트랙 등 각종 의혹 관련 수사 중 7명, 재판 중...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 2020,10,07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책임지고 정 의원의 검찰 수사 협조를 강제해야 합니다. 지난 10월 5일, 정부가...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 2020,09,17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위,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지난 9월 15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특위) 위원장(김진표 의원)이 선임되고 첫 회의가 열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 2020,09,11

참여연대, 제21대 국회의원 재산 심사 강화 요청 오늘(9/11),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