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Dec 15, 2021

표의 비례성 왜곡하는 지방의회 선거제도 개혁하라

 

국회 정개특위, 표의 비례성 왜곡하는 지방의회선거제도 개혁 등에 적극 임해야   

 
어제(11/9)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공직선거법 현안들을 처리하기로 합의하였다. 국민의 정치적 기본권 실현을 위한 다양한 선거제도 개혁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국회가 지금이라도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이미 지난 7월에 해당 특위 설치를 촉구했던 정치개혁공동행동 입장에서는 늑장 합의라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국회 정개특위의 가장 첫 번째 임무는 지방선거 선거제도의 개혁이다. 정치개혁공동행동에서 제기한 두 개의 헌법소원(2018헌마405, 2018헌마919)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모두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제 헌재 결정에 따라서 지방의회 선거구간 인구편차는 3대1이 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공직선거법 개정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민의 왜곡하는 선거제도내 일부 조정에 그쳐서는 안 돼

 
그러나 국회 정개특위의 역할이 단순히 헌재 결정에 따라 법령개정을 하고, 새로운 인구편차에 따른 선거구조정만 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국회 정개특위가 제몫을 하려면 표의 비례성이 극심하게 왜곡되어 있는 지방의회선거제도에 대한 발본적 개혁에 나서야 한다. 특히 시·도의회 선거의 경우 극단적 소선거구제와 10%의 비례대표로 이뤄져 있어서, 한 정당이 50% 내외 정당지지율로 90%에 가까운 의석을 차지하는 결과가 반복되고 있다. 민의가 왜곡되는 선거결과가 결국 지방의회에서의 1당 독재를 탄생시키고 지방의회에 대한 주민들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국회 정개특위가 단순한 선거구 조정과 일부 법령 개정에만 그친다면, 그것은 그저 민의를 왜곡하는 일의 반복이 될 것이다. 
 
이에 우리는 국회가 지방의회 선거의 비례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임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민주적 정당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결선투표제 도입, 지방의회 활성화를 위해 19대 국회에서 원혜영 위원, 20대 국회에서 천정배 의원이 대표 발의했었던 지역정당(local party) 논의 등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양 당이 합의한 피선거권 연령 하향 논의에 그치지 말고, 정당법상 정당가입연령 규제 등 불합리한 연령차별 조항도 철폐해야 한다. 
 
또한 국회 정개특위는 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는 각종 독소조항들도 법 개정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조차 다양한 입법제안을 했을 정도로 현재 공직선거법은 개정해야 할 조항이 수두룩하다. 특히 선거일 전 180일부터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물·인쇄물의 게시·첩부·배부 등을 포괄적으로 금지한 공직선거법 제90조와 제93조 제1항, 후보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나 풍자적 표현까지 수사 대상으로 만드는 후보자 비방죄(110조, 251조) 등의 폐지를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양당은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2018헌마730)에 따라 공직선거 선거운동시 확성장치 사용에 따른 소음 규제기준를 마련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그런데 해당 결정 보다 훨씬 더 오래전에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은 국민투표법 개정에 대해서 양 당이 외면하는 이유를 묻지 않을 수 없다. 헌법재판소는 2014년 7월에 재외선거인의 국민투표권을 제한하는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을 헌법위반(2009헌마256)이라고 판단한 바가 있는데, 지금까지도 해당 조문은 개정되지 않고 있다. 이는 명백한 국회의 직무유기로 국회 정개특위에서 다루어야 할 소관사항이다. 
 
우리는 국회 정개특위가 주민의 정치적 기본권 확대 실현을 위해 더 많은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을 주문한다. 이번 정개특위가 너무 늦게 출범한 만큼 내년 지방선거 관련한 과제들을 처리하는 것이 시급하겠지만, 국회에는 정치개혁과 선거제도 개혁에 관한 수많은 과제들이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21대 국회에서 구성된 정개특위는 내년 5월 29일로 활동을 종료하지 말고 않고 개혁과제 마련과 처리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 정치개혁공동행동은 국회가 제 역할을 하는지 감시와 비판의 역할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목록
[논평]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 2021,02,19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안 논의 약속 지켜야 이해충돌 관련 정보의 상시 공개 등 2월 국회서 결론 내놔야 2월 임시 국회가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났지...

[이슈리포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
  • 2021,01,08

제헌국회 이래 징계안 360건 중 가결 단 6건 불과유명무실 윤리특위, ‘제 식구 감싸기’ 징계 왜 안 바뀌나윤리특위 상설화, 별도 의회윤리법 제정해야...

[칼럼] 국회 청원 성립 기준, 왜 이렇게 높나 했더니...
  • 2021,01,04

국민이라면 누구나 법안과 의견을 제안할 수 있도록 2020년 1월 도입된 국회 국민동의청원. 실제로 해보니 문턱은 높았습니다. 국민동의청원이 그 이름...

[팩트시트]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 2020,12,23

2,121건 국민동의청원 시도, 단 3건만 국회 처리 30일 이내 10만 동의 성립요건 청원권 보장 아니라 제약 10만 동의해 성립해도 방치하는 국회, 당장 ...

[카드뉴스] 무책임한 탈당정치 이제 그만!
  • 2020,12,23

#1 이러다 국회에 새로운 교섭단체 출현하겠어, 이름은 '탈당' 짤린 꼬리 다섯 전봉민, 박덕흠, 이상직, 김홍걸, 양정숙 #2 국민의힘 전봉민(현 무소...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 2020,12,22

손혜원, 박덕흠 의원 등 국회의원 이해충돌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 논의와 신속한 입법을 촉구합...

국회는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안 하고 뭐했대?
  • 2020,12,22

2021년 국회의원 수당은 연 1억 5,280만 원 구속돼도 약 월 1천만 원 지급, 지급예외조항 정비 안돼 '이중지급・특혜면세・규정미비’ 국회의원수당법,...

[논평] 비례대표의 ‘민주적 선출절차 조항’ 삭제한 거대양당의 야합
  • 2020,12,11

비례대표의 ‘민주적 선출절차 조항’ 삭제한 거대양당의 야합 위성정당 창당에 이어 비례대표 민주적 정당성 훼손한 거대정당의 후안무치한 행태 민주당...

[논평] ‘일하는 국회’ 첫 발, 늦었지만 다행
  • 2020,12,09

‘일하는 국회’ 첫 발, 늦었지만 다행‘제대로’ 일하는 국회, 질적 개선 위한 후속 입법 신속히 이뤄져야법사위 체계자구심사 권한 폐지, 이해충돌 방지 ...

교도소 간 국회의원도 매달 챙겨받는 수당, 왜죠?
  • 2020,12,07

이중 지급, 꼼수 인상, 특혜 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 수당 파헤치기, 참여연대와 함께 알아볼까요? 우리에겐 제대로 된 수당(월급)을 받고, 제대...

국회 국민동의청원 도입 1년여, ‘30일 10만 동의’로 성립 겨우 17건 불과
  • 2020,12,03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공하려면 30일 동안 10만명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불가능한 도전 같았지만 17건이 10만명의 동의를 얻어 청원안이 성립되었습...

의원님, 내년에도 월급 셀프 인상하시게요?
  • 2020,11,26

국회의원수당법 개정 모르쇠하는 국회 운영위 지난 10월 29일, 참여연대가 이중 지급, 특혜 면세, 꼼수 인상 등 논란이 큰 「국회의원수당 등에 관한 ...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국회의원수당법 제대로 개정하자!
  • 2020,11,26

#1 테스형~ 국회의원 월급 왜 이래 꼼수인상 · 중복지급 · 특혜면세 논란덩어리 국회의원수당법, 내년에 또 이대로?! #2 국회의원이 보수 받는 이유, ...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 2020,11,09

구속된 국회의원도 월 990만원 수당을 받는다? 지난 11월 6일, 정정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청주시 상당구)이 정치자금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 위반 혐...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 2020,11,09

보궐선거 당헌 바꾼 집권여당, 국민 신뢰 저버려 오늘(11/2)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투표를 통해 “당 소속 선출직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

[궁금한이야기X ③] 중앙선관위의 선거비용 관리감독 실태, 이대로 괜찮겠습니까?
  • 2020,10,26

참여연대는 ‘지난 총선, 정책개발비 한푼도 안 쓴 정당을 공개합니다’로 선거비용을 분석한 바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 발 더 ...

'의원님은 재판 중!' 수사 및 재판 중인 21대 국회의원을 알아보세요
  • 2020,10,19

21대 국회의원 중 49명이 수사받고 있거나 재판 중이라고? 21대 총선 공직선거법 위반 기소 28명, 패스트트랙 등 각종 의혹 관련 수사 중 7명, 재판 중...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 2020,10,07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책임지고 정 의원의 검찰 수사 협조를 강제해야 합니다. 지난 10월 5일, 정부가...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 2020,09,17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위,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지난 9월 15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특위) 위원장(김진표 의원)이 선임되고 첫 회의가 열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 2020,09,11

참여연대, 제21대 국회의원 재산 심사 강화 요청 오늘(9/11),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