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May 20, 2021

이달의 국회를 알리오!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21대 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전체회의 2회, 법안심사소위 3회 충족 정무위, 행안위 단 2곳 불과

3월에 이어 4월에도 청원심사소위와 윤리특위 개회 0건

참여연대,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발행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는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 4월 임시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을 발표합니다. 국회 각 상임위는 개정 국회법에 따라 3월 23일부터 매달 2회의 전체회의(제49조의2)와 3회의 법안심사소위(제57조)를 각각 개최해야 합니다. 지난 2, 3월 낙제점을 면치 못했던 국회는 개정 국회법이 적용되는 4월 국회에서도 대부분의 상임위원회가 전체회의와 법안심사소위 개회 횟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모두 6개의 상임위가 전체회의 개회에서, 12개의 상임위가 법안심사소위 개회에서 ‘상시 국회’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정무위원회(위원장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와 행정안전위원회(위원장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만이 해당 국회법을 준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일하는 국회'로 변모하겠다며 스스로 국회법을 개정한 국회가 시작부터 이를 위반한 것입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이슈브리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4월 국회(제386회)의 각 상임위원회 전체회의 개회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국회법에 따라 예외 상임위인 3개 상임위(국회운영위, 여가위, 정보위)와 특위(윤리특위, 예결특위)를 제외한 14곳 중 6곳(국방위, 국토교통위, 농수산위, 법제사법위, 보건복지위, 외교통일위)이 전체회의 월 2회 개회를 지키지 않아 국회법을 위반했습니다. 한편 해당 국회법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의원 12건의 징계안이 계류되어 있는 윤리특위는 지난 2월, 3월 국회에 이어 이번에도 단 한 차례 회의조차 열지 않았습니다.
 
eE7S83VlmzPrsSXVTNNdBj6W-epEqwzC3f6ce5rS
 
둘째, 법안심사소위원회 개회 현황을 분석했습니다. 각 상임위는 개정 국회법에 따라 월 3회 법안심사소위를 개회해야 하지만, 예외 조항에 해당하는 3개 상임위원회를 제외한 14개 상임위 중 정무위와 행안위를 제외한 12곳(과기정통위, 교육위, 국방위, 국토교통위, 기획재정위, 농수산위, 문체위, 법제사법위, 보건복지위, 산자위, 외교통일위, 환경노동위)이 법안심사소위를 월 3회 미만 개회하여 국회법을 위반했습니다. 법안심사소위는 법안의 축조심사 등을 담당하는 회의이며, 내실 있는 법안 심사를 위해서는 법안심사소위 개회 의무 조항을 준수하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VYjY2tcoWWrAhBGmCjTTyMY-2yMwurxDvADC9PXg
 
셋째, 청원심사소위원회 개회 현황을 기록했습니다. 청원심사소위 개회는 국회법상 의무조항은 아니지만 민의를 경청하고 이를 입법에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국회 입법활동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모든 상임위원회는 청원심사소위를 3월에 이어 4월에도 단 한 번도 열지 않았습니다. 청원안이 국회에 제출되어도 국회가 이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 재차 확인된 것으로, 청원안 심사제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LzRw5pJniVUuzanyF828hoYavYOXpRnj7WC0DJFo
 
마지막으로 국회의원들의 상임위원회와 소위원회 출석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출결은 출석, 출장, 청가, 결석으로 구분됩니다. 소속된 상임위원회가 없는 박병석 국회의장을 제외한 국회의원 299명 중 232명이 위원회 전체회의와 소위원회 회의에 전부 출석했습니다. 반면 출석률 0%인 의원은 3월의 8명에서 19명으로 급증하였습니다. 이에는 구속 수감 중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정정순 의원과 국무장관 겸직 의원 6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재보궐 선거와 전당대회,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사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청가서조차 제출하지 않고 무단으로 결석한 의원은 총 5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구속으로 인해 의정활동이 사실상 불가능할 경우 수당 지급을 중단하도록 <국회의원 수당 등에 관한 법률>을 시급히 개정해야 합니다.
 
t-L2Ne23LCzf-mzkLszWIgXKQlVwTCYDru5Ikg2B
 
‘일하는 국회’는 단순히 회의를 많이 하는 국회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은 상임위원회 개회 횟수나 소속 위원의 출결 같은 정량적 평가로만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국회법을 통해 부여된 회의 개회 의무는 입법활동을 충실히 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는 점도 분명합니다. 이조차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국회에 대한 평가는 매우 인색할 수밖에 없습니다.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온 참여연대는 21대 국회에서도 개회 및 출결 현황 뿐 아니라 법안 발의부터 심사, 본회의 표결까지 감시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이어갈 것입니다.
 
▣ <이 달의 국회를 알리오 - 제386회 국회 상임위 개회/출결 현황 이슈브리프 : 4월 임시국회, ‘상시 국회’ 시작부터 불성실> [바로가기/다운로드]
▣ 제386회 국회(4월) 상임위 개회 및 출결 현황 데이터 [바로가기/다운로드]
▣ 보도자료 [원문보기/다운로드]
목록
[궁금한이야기X ③] 중앙선관위의 선거비용 관리감독 실태, 이대로 괜찮겠습니까?
  • 2020,10,26

참여연대는 ‘지난 총선, 정책개발비 한푼도 안 쓴 정당을 공개합니다’로 선거비용을 분석한 바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한 발 더 ...

'의원님은 재판 중!' 수사 및 재판 중인 21대 국회의원을 알아보세요
  • 2020,10,19

21대 국회의원 중 49명이 수사받고 있거나 재판 중이라고? 21대 총선 공직선거법 위반 기소 28명, 패스트트랙 등 각종 의혹 관련 수사 중 7명, 재판 중...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 2020,10,07

정정순 의원은 15일 전에 검찰 수사 협조해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책임지고 정 의원의 검찰 수사 협조를 강제해야 합니다. 지난 10월 5일, 정부가...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 2020,09,17

늑장출범 국회 윤리특위, 제대로 일해야 합니다! 지난 9월 15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특위) 위원장(김진표 의원)이 선임되고 첫 회의가 열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제21대 국회의원 재산등록 심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 2020,09,11

참여연대, 제21대 국회의원 재산 심사 강화 요청 오늘(9/11),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소장: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국회는 이해충돌이 의심되는 박덕흠의원을 진상조사해야 합니다
  • 2020,08,28

이해충돌과 특혜가 의심되는 박덕흠의원, 국회가 진상조사 해야 합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상임위원인 박덕흠 의원(미래통합당, 보은옥천영동괴산)...

21대 국회의원 중 집부자는 누구일까요?
  • 2020,07,07

주거권네트워크가 제29회 무주택자의 날(6월 3일)을 맞아 발표한 국회의원 300명의 재산현황과 주거부동산 관련 공약 분석 결과를 다시 공유합니다. 6...

[긴급] 다주택 국회의원 및 고위공직자 주택 매각 촉구 48시간 서명에 함께해주세요
  • 2020,07,07

주거.부동산 관련 상임위 다주택자 국회의원 및 고위공직자 주택 매각 촉구 48시간 시민서명 돌입참여연대는 오늘(7/6)부터 48시간 동안 주거부동산 관...

탈세 의혹, 채용청탁 정황? 종합적인 의회윤리법 제정이 필요합니다
  • 2020,07,03

반복되는 국회의원들의 윤리의무 위반 문제, 이제는 끝나야 합니다. 최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9대 의원이던 2015년 편법증여와 탈세를 했다...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입니다
  • 2020,06,29

파행적 원구성 두 거대정당의 공동책임오늘(6/29) 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지 약 한 달만에 개최된 본회의에서 전반기 국회 원구성이 볼썽사납게 마...

국회의원회관 내 스피드게이트 설치, 왜 해야하나요?
  • 2020,06,17

최근 국회의원회관 3층부터 10층까지 '스피드게이트'가 설치되고 있는 것 아시나요? 국회를 방문해보신 분들이라면 사진 속의 기계에 출입증을 찍고 ...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
  • 2020,06,16

국민 안중에도 없는 21대 국회, 볼썽사납다더불어민주당이 어제(6/15) 상임위 구성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미래통합당과의 상임위원장 배분 협상을...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됩니다
  • 2020,06,16

‘일하는 국회법’ 발의로만 끝나선 안돼어제(6/11) 더불어민주당의 ‘일하는 국회 추진단’(이하 추진단)이 토론회를 열고 현재 논의중인 국회법 개정안의...

유마늘의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
  • 2020,05,30

열려라국회 랜선 집들이에 오신 것을 환영하오, 낯선 이여!             캐릭명 : 알리오열리오(한국이름 유마늘)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알리고 국...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정치자금제도 합리적 개선과 투명성 강화하는 「정치자금법」 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참정권 확대와 보장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위장정당 방지와 유권자 표현의 자유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국민에게 열린 국회 위한 「국회법」 및 관계 규정 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일하는 국회 만들기 위한 「국회법」 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21대 국회 입법⋅정책과제] 국회의원의 윤리와 징계 규율하는 「의회윤리법」 제정
  • 2020,05,30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