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감시와 평가, 데이터와 통계로 본 선거제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 Apr 02, 2021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하라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과잉 단속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선관위는 야권 단일화 촉구 지면 광고가 공직선거법(이하 선거법) 위반이라며 조사에 착수하고, ‘보궐선거 왜 하죠?’라는 현수막과 ‘성평등’, ‘봄날’이라는 보편적 단어 사용까지 금지하고 있다. 유권자의 선거 참여를 독려해야 할 선관위가 오히려 공직선거법을 과잉 적용함으로써 유권자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유권자는 선거시기에 입 다물고 투표용지에 도장만 찍으라는 것인가.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소장 :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는 선관위의 과잉 단속이 즉각 중단되어야 함을 강력히 촉구한다.
 
지난 3월 26일,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비판에 대해 선관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후보자간 선거운동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고 불법행위로 인한 선거의 공정성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해명했다. 누구를 위한 기회 균등이며 공정성 침해는 누가 판단하는 것인가. 선관위의 자의적 선거법 적용으로 애꿎은 유권자만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관위는 유권자가 피켓, 현수막, 인쇄물 등을 활용하여 의견을 밝히는 경우 선거법 위반이라며 단속을 이어가면서, 말과 전화를 통해서는 선거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 그러나 선관위 스스로도 선거법 규제조항(공직선거법 제90조와 제93조)이 과도하니 폐지되어야 한다는 개정의견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고(2016년), 헌법재판소는 온라인 선거운동의 상시 허용결정을 두 차례 내린 바 있다(2010헌마47, 2018헌마456).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헌법에 보장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에 선관위 존립의 의미가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선관위의 과도한 법해석도 문제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옥죄고 있는 선거법을 방치하고 있는 국회에게도 책임이 있다. 선관위 규제의 법적 근거는 공직선거법 제90조와 제93조로 이에 따르면 일부 허용된 방식을 제외하고 ‘누구든지 선거일로부터 180일 전부터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가 금지된다. 유권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포괄적으로 제약하는 독소조항들이다. 여야 정당들은 선관위의 편파성을 지적하지만 선거법 개정 요구에 외면했던 것은 다름아닌 국회와 여야 거대정당들이다. 국회는 하루빨리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옥죄는 해당 조항들을 개정해 헌법상 보장된 유권자의 알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논평] 민주당, 정치개혁 말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줘야   2022.02.24
[대선논평] 윤석열 후보의 정치개혁 공약은 뭔가   2022.02.28
[공약평가] 20대 대선 후보의 정치·사법·행정 분야 공약의 개혁성과 구체성은?!   2022.03.07
[논평] 확진자 사전투표 혼란, 21세기에 웬말인가   2022.03.07
[논평] 민주당, 정치개혁 약속 실천에 옮겨야   2022.03.15
[공동기자회견] ‘국민의힘’은 기초의회 선거제도 개혁에 동참하라   2022.03.24
[성명] 국민의힘은 선거제 개혁에 즉각 협조하라   2022.03.24
[분석자료] 상시 국회 1년, 스스로 만든 국회법 어기는 국회   2022.03.31
[기자회견] 지방선거 선거제 개혁과 다당제 정치개혁 촉구 시민사회단체-정당 기자회견   2022.04.04
[기자회견] 선거제, 정치개혁 가로막는 국민의힘 규탄한다!   2022.04.29
[성명] 선거제 개혁 무산, 기득권 택한 거대양당 규탄한다   2022.04.29
[성명] 또 다시 좌절된 선거제 개혁, 거대양당 규탄한다   2022.04.29
[의견서] 지역정당 설립 제한하는 정당법 위헌성에 관한 의견서 헌법재판소에 제출   2022.04.29
[논평] 파국 막은 수사-기소 분리 입법 중재안 합의   2022.04.29
[칼럼] 의회민주주의 훼손을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2022.04.29
[기자회견] 정치개혁 합의 무시하는 선거구획정위와 시·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규탄한다!   2022.04.29
[입법의견서] 시민의 청원을 무기한 심사 연장하는 국회법 바꿔야합니다   2022.04.29
[논평] 정치개혁 외치고도 쪼개기 묵인한 민주당의 위선   2022.04.29
[이의신청] 국회의원 이해충돌 정보 비공개한 국회에 이의신청합니다   2022.06.06
[뉴스레터] 국회감시 뉴스레터 '월간국감'을 한 달에 한 번 만나보세요   2022.06.21

열려라국회 -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만들어 운영하는 국회의원 DB사이트 02-725-7104 watch@pspd.org
참여연대는 특정 정치세력이나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오직 시민의 힘으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시민단체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회원가입
© 1994-2024 참여연대. Some Rights Reserved CC BY-NC 4.0.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