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Mar 24, 2021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 해?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국회법 왜 논의 안하나

국회운영위 공청회 이후 한번도 안열려

이해충돌 정보 사전/상시 공개 및 이해충돌 판단기구 마련 필요

 
참여연대와 민변이 폭로한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이후 각 정당들은 재발방지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국회의원의 이해충돌을 막을 국회법을 논의해야 할 국회운영위원회 (이하 국회운영위)는 감감무소식이다. 국회운영위는 2월 말 공청회를 연 이후 3월 국회의 절반이 지난 지금까지 한번도 회의를 열지 않았다. 실효성 있는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해서는 이해충돌 정보의 사전 공개 및 상시 공개, 그리고 상설 독립기구로서 이해충돌 판단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국회운영위는 회의를 열어 이미 발의된 국회법 개정안을 심사하고, 보완하여 국회의원 이해충돌을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미 국회에는 정부가 제출한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안>과 별개로 국회의원의 이해충돌을 규제하기 위해 국회의원 사적 이해관계를 등록, 공개하고 이해충돌 우려가 있는 경우 의안별 회피 및 제척 등을 규정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여러 건 발의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 공직자투기부패근절대책 TF는 지난 3월 11일, 3월 중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을 포함한 관련 입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정작 심사를 위한 운영위 일정은 잡지 않고 있다. 말로만 국회법 개정을 추진한다 할 것이 아니라면 운영위를 열어 국회법 개정안 심사에 나서야 한다.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안>과 별도로 국회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국회의원이 가진 ‘선출직’이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국회의원은 상임위 사보임 등으로 언제든지 이해충돌 상황에 놓일 수 있고, 본회의에서 본인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법안에 대해 표결할 수도 있다. 국회법에 선언적인 국회의원 이해충돌 방지 조항 몇개를 도입한다고 해도 실질적인 이해충돌 방지를 기대할 수는 없다. 이해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원 스스로 의안별 심의와 표결을 회피 및 제척할 수 있도록 하고, 이해관계 정보의 사전 공개와 상시 공개를 통해 시민적 감시 기제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설 독립기구인 이해충돌 판단기구를 마련해야 한다. 국회 운영위는 회의를 소집해 국회의원의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국회법 개정 논의에 조속히 착수해야 한다.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기자회견] 2016총선넷 ‘구멍 뚫은 피켓’ 결국 유죄   2021.12.15
[팩트시트] 21대 국회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기록합니다.   2021.12.15
[입법청원] 국민동의청원 성립 기준 낮추고 제대로 심사하라   2021.12.15
[공동기자회견] 지방선거 3~4인 선거구 확대와 비례대표 대폭 확대를 통해 지방정치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2021.12.15
[논평] 또 다시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 시한 넘긴 국회를 규탄한다   2021.12.15
[종합] 유권자의 스케치북 - 매주 월요일 유권자들의 대선수다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① 2022 대선보다 대선 이후가 우려되는 이유   2021.12.15
[논평]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② 제20대 대선과 2030 청년 세대의 미래?   2021.12.15
[입법청원]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하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야 합니다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③ 우리들의 대통령   2021.12.22
[토론회] 2016총선넷 유죄 판결을 통해 본 공직선거법, 무엇이 문제인가   2021.12.22
[논평] 피선거권 연령 18세로 하향, 늦었지만 당연   2021.12.28
[유권자의스케치북] ④ 무권자(無權者) J씨의 대선 관전기   2021.12.29
[유권자의스케치북] ⑤ 제20대 대선과 지방의 위기   2022.01.03
[논평]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2022.01.06
[유권자의스케치북] ⑥ 비호감 대선과 선거제 개혁의 필요성   2022.0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⑦ 세대 간 연대 없는 청년 공약은 허구   2022.0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⑧ 대선과 권력구조 개헌: ‘4년 연임 대통령제’의 안착을 위한 조건들   2022.02.15
[대선논평] 지상파 TV토론에 소수 정당 후보자 참여 보장해야   2022.02.15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