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이슈&포커스  l  국회 이슈를 데이터와 통계 등 유의미한 분석결과로 제공합니다

  • Apr 02, 2021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하라

유권자 표현의 자유 억압하는 선관위 과잉 단속

선관위는 과잉 단속 중단, 국회는 공직선거법 90, 93조 개정해야

 

4월 7일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과잉 단속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선관위는 야권 단일화 촉구 지면 광고가 공직선거법(이하 선거법) 위반이라며 조사에 착수하고, ‘보궐선거 왜 하죠?’라는 현수막과 ‘성평등’, ‘봄날’이라는 보편적 단어 사용까지 금지하고 있다. 유권자의 선거 참여를 독려해야 할 선관위가 오히려 공직선거법을 과잉 적용함으로써 유권자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유권자는 선거시기에 입 다물고 투표용지에 도장만 찍으라는 것인가.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소장 :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는 선관위의 과잉 단속이 즉각 중단되어야 함을 강력히 촉구한다.
 
지난 3월 26일,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비판에 대해 선관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후보자간 선거운동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고 불법행위로 인한 선거의 공정성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해명했다. 누구를 위한 기회 균등이며 공정성 침해는 누가 판단하는 것인가. 선관위의 자의적 선거법 적용으로 애꿎은 유권자만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관위는 유권자가 피켓, 현수막, 인쇄물 등을 활용하여 의견을 밝히는 경우 선거법 위반이라며 단속을 이어가면서, 말과 전화를 통해서는 선거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 그러나 선관위 스스로도 선거법 규제조항(공직선거법 제90조와 제93조)이 과도하니 폐지되어야 한다는 개정의견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고(2016년), 헌법재판소는 온라인 선거운동의 상시 허용결정을 두 차례 내린 바 있다(2010헌마47, 2018헌마456).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헌법에 보장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에 선관위 존립의 의미가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선관위의 과도한 법해석도 문제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옥죄고 있는 선거법을 방치하고 있는 국회에게도 책임이 있다. 선관위 규제의 법적 근거는 공직선거법 제90조와 제93조로 이에 따르면 일부 허용된 방식을 제외하고 ‘누구든지 선거일로부터 180일 전부터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가 금지된다. 유권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포괄적으로 제약하는 독소조항들이다. 여야 정당들은 선관위의 편파성을 지적하지만 선거법 개정 요구에 외면했던 것은 다름아닌 국회와 여야 거대정당들이다. 국회는 하루빨리 유권자 표현의 자유를 옥죄는 해당 조항들을 개정해 헌법상 보장된 유권자의 알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록
제목 날짜
[18세 필독] 어서와, 국회의원 선거는 처음이지? 2020.01.21
[캠페인] 또 개점휴업, 국회 일 좀 해라! - 온라인 서명에 참여해 주세요! 1 2019.05.31
[정보공개] 19대 국회의원 4년간의 본회의 출석률 공개 2016.09.07
[기자회견] 2016총선넷 ‘구멍 뚫은 피켓’ 결국 유죄   2021.12.15
[팩트시트] 21대 국회의원들의 징계 심사를 기록합니다.   2021.12.15
[입법청원] 국민동의청원 성립 기준 낮추고 제대로 심사하라   2021.12.15
[공동기자회견] 지방선거 3~4인 선거구 확대와 비례대표 대폭 확대를 통해 지방정치의 다양성을 확보하자!   2021.12.15
[논평] 또 다시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 시한 넘긴 국회를 규탄한다   2021.12.15
[종합] 유권자의 스케치북 - 매주 월요일 유권자들의 대선수다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① 2022 대선보다 대선 이후가 우려되는 이유   2021.12.15
[논평] 성립 요건 완화해도 심사 강제 안하면 소용 없어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② 제20대 대선과 2030 청년 세대의 미래?   2021.12.15
[입법청원] 구금 중 수당 지급 중단하도록 국회의원수당법 개정해야 합니다   2021.1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③ 우리들의 대통령   2021.12.22
[토론회] 2016총선넷 유죄 판결을 통해 본 공직선거법, 무엇이 문제인가   2021.12.22
[논평] 피선거권 연령 18세로 하향, 늦었지만 당연   2021.12.28
[유권자의스케치북] ④ 무권자(無權者) J씨의 대선 관전기   2021.12.29
[유권자의스케치북] ⑤ 제20대 대선과 지방의 위기   2022.01.03
[논평] 윤리특위, 동료 의원 방패막이 자처말고 징계 심사 조속히 착수해야   2022.01.06
[유권자의스케치북] ⑥ 비호감 대선과 선거제 개혁의 필요성   2022.0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⑦ 세대 간 연대 없는 청년 공약은 허구   2022.02.15
[유권자의스케치북] ⑧ 대선과 권력구조 개헌: ‘4년 연임 대통령제’의 안착을 위한 조건들   2022.02.15
[대선논평] 지상파 TV토론에 소수 정당 후보자 참여 보장해야   2022.02.15

열려라국회는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가 자체 제작하여 운영하는 국회감시전문사이트 입니다.
02-725-7104 watch@pspd.org

© k2s0o1d4e0s2i1g5n. Some Rights Reserved